대형 산갈치가 7일 강원 고성에서 발견됐다.
이날 오전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문암진리 해안에서 4.2m 크기의 산갈치 한 마리가 발견된 것.
이에 온라인에서는 '산갈치 해안 발견=지진 전조' 주장이 나오고 있다.
사례가 여럿 있어서다. 2013년과 2016년 대만 지진 때 5m 길이의 산갈치가 잇따라 포획돼 주목 받았다.
국내의 경우도 2017년 3월 경북 포항에서 대형 산갈치가 잡혔는데, 다음 날 동해 바다에서 지진이 잇따라 발생했다.
1963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일본에서도 대형 산갈치가 잡히고 이틀 뒤 지진이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다.
두 가지 설이 나뉜다.
하나는 바다 깊은 곳이 먼저 지진의 영향을 받은 경우, 이를 피하기 위해 또는 미처 피하지 못해 휩쓸려서 육지 가까이로 오게 되는 것이다.
또 하나는 산갈치가 먹이를 찾으러 해수면까지 왔다가 파도에 휩쓸려 연안으로 오게 되는 것이다.
이날 오후 1시 43분 9초쯤 포항에서 규모 1.5의 지진이 발생했는데, 연관성이 있는 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물론 이 지진은 산갈치가 발견된 후 발생한 것이긴 하다. 그런데 그 전에 지진의 전조가 있었고 향후 이어질 지진을 미리 감지해 산갈치가 피신한 것인지 일부 네티즌의 추측이 나오고 있다. 경북 포항과 강원 고성은 멀리 떨어져 있지만, 함께 동해에 접해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내편은 묻지마 사면, 니편은 묻지마 구속(?)'…정권 바뀐 씁쓸한 현실
'우리 꿈 빼앗겼다' 입시비리 조국 사면에 수험생·학부모·2030 분노 표출
김건희 구속·국힘 당사 압수수색…무자비한 특검 앞 무기력 野
유승준 "사면? 원치 않아…한국서 돈 벌고 싶은 생각도 없다"
김문수, 당사서 '무기한 농성' 돌입…"무도한 압수수색 규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