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 동해안 고속도로 예타 면제 사업 선정에 총력

경북도가 동해안 고속도로의 정부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사업 선정을 위해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를 비롯한 간부 공무원들은 사업 선정의 키를 쥔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기획재정부 등 정부 부처와 접촉면을 넓히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11월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큰 사업은 예비 타당성조사를 면제하겠다'며 시도별로 사업 2건씩을 신청받았다. 도는 동해안 고속도로(포항~ 삼척), 동해 중부선 복선 전철화(포항~동해) 사업을 건의했다.

정부는 지난해 연말 선정 사업을 발표할 예정이었으나 전국에서 올라온 사업들의 전체 규모가 수십조원대로 워낙 커 결정을 미루고 있다.

도는 '1개 사업이라도 선정되는 게 중요하다'고 판단, 동해안 고속도로 사업에 우선순위를 두기로 했다. 동해 중부선 철도는 단선이나 공사가 진행 중이어서 '복선 전철화'의 불씨가 살아 있지만, 동해안 고속도로는 '이번 기회가 아니면 어렵다'고 봤다.

동해안 고속도로 사업은 공사 중인 포항(흥해)~영덕 구간을 제외한 영일만 횡단 17.1㎞(2조원), 영덕~삼척 117.9㎞(5조원) 등 총 135㎞(총사업비 7조원) 구간이다.

도는 통일시대를 대비해 남북교류 협력의 축이 될 동해안 고속도로 건설이 시급하다고 보고 있다. 포항·영덕·삼척·강릉을 잇는 도로망이 완성되면 '환동해권 물류허브'의 기능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영일만 횡단 구간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는 게 도의 판단이다. 이곳에 영일만대교(가칭)가 건설되면 부산 광안대교처럼 관광 명소가 돼 지역경제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어서다.

이에 경북도는 새해를 맞아 사업 선정에 힘을 쏟고 있다. 이 도지사는 최근 송재호 국가균형발전위원장에게 전화를 걸어 사업의 필요성을 역설했고, 윤종진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8일 송 위원장을 직접 만나 설득 작업을 벌였다. 7일에도 최대진 경북도 건설도시국장이 세종시에 있는 기재부와 국토부 담당 부서를 방문해 설명했다.

윤종진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서해와 남해에는 고속도로가 건설돼 있지만, 동해안 구간만 끊겨 있다"며 "이 도로가 이어지면 북한·중국·러시아까지 이어지는 인적·물적 교역로가 된다. 이번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한편, 정부는 이달 말쯤 최종 선정된 예타 면제 사업을 공개할 것으로 알려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