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탈핵에 무너지는 울진경제, 원전지역 주민들은 답답하지만 정부는 모르쇠로 일관

문재인 대통령의 탈원전 정책으로 한국원자력마이스터고 학생들...미아신세?

울진 신한울원전 3·4호기 건설 재개를 바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지만 정부는 귀를 막은 채 탈원전을 골자로 한 에너지전환 정책만 고수하고 있다.

울진군민들은 "오죽하면 위험시설인 원자력발전소를 유치해 지역경기를 살려보려고 하겠느냐"며 막막한 심정을 드러내고 있지만 정부는 요지부동이다.

신한울원전 3·4호기 건설 재개를 원하는 국민청원 서명이 30만 명을 훌쩍 넘어서고 울진 원전 마이스터고 학생들의 릴레이 편지가 청와대에 전달되자, 정부는 마지못해 최근 원전 관련 정부 인사 등을 울진에 급파했다.

산업통상자원부 신희동 원전산업정책관, 한국수력원자력 이용희 사업본부장 등은 이달 22일 울진을 찾아 전찬걸 울진군수, 장유덕 울진군의회 부의장 등과 함께 '신한울 3·4호기 건설 관련 진실·소통 협의체' 제1차 회의를 비공개로 진행했다.

이날 참석자들에 따르면 신희동 정책관은 "정부 정책 변화로 피해를 보고 있는 울진군민에게 죄송스럽다"면서도 "신한울 3·4호기 건설 중단은 에너지전환 로드맵과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등 정부의 종합적 에너지계획에 따른 것"이라며 탈원전 의지를 다시 한 번 전달했다.

신한울 3·4호기 공론화를 주장하는 주민들의 목소리에 대해 현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는 기본적인 변화가 없다는 의미인 셈이다.

다만 울진 측이 제시한 '정책 전문가 TV 토론회' 개최는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지역 요구사항은 대통령에게 전하겠다고 약속했다.

참석자들은 "건설 재개 보다는 건설 중단에 따른 지역 피해 사안과 이를 보안해줄 정부의 선물을 고르는데 더욱 초점이 맞춰진 모습이었다"고 전했다.

결국 이날 회의는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를 부정적으로 보고 있는 정부 시각만 재확인하는 자리에 그쳤다.

이에 앞서 범국민서명운동본부와 울진범대위 등이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에 대한 33만명의 청원서명을 청와대 정무수석실에 전달한 자리에서도, 정부는 "국회에서 먼저 논의하라"며 발을 뺐다.

울진에서는 합리적 절차에 따른 결정을 요구하며 ▷신한울 3·4호기 공론화 시행 ▷차기 에너지계획 수립 시 지역주민 대표 및 원전 전문가 참여 ▷신한울 3·4호기 해결방안 마련 기한 설정(올해 6월까지) 등을 주장하고 있다.

산자부와 한수원, 울진 측은 실무협의를 거쳐 다음 달 제2차 회의를 열고 전문가들로 구성된 패널들과 TV 토론회 개최 등의 주요 일정을 논의할 계획이다.

한편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울진의 원전 건설 재개 운동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 31일 울진을 방문해 신한울원전 3.4호기 예정지 현장을 둘러보기로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