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작년 멈춘 심장 2587개, 119구급차서 다시 뛰었다

18일 광주 동구 한 유치원에서 소방대원이 안전교육을 하고 있다. 동부소방서는 어린이 맞춤형으로 화재 시 피난 방법과 119 신고요령, 돌봄 교사를 대상으로 한 유아 하임리히법 및 심폐소생술 등을 교육했다. 연합뉴스
18일 광주 동구 한 유치원에서 소방대원이 안전교육을 하고 있다. 동부소방서는 어린이 맞춤형으로 화재 시 피난 방법과 119 신고요령, 돌봄 교사를 대상으로 한 유아 하임리히법 및 심폐소생술 등을 교육했다. 연합뉴스

지난해 2천587명이 심정지로 병원에 실려 가다가 119구급차 안에서 되살아난 것으로 집계됐다.

30일 소방청에 따르면 지난해 심정지 환자 2만4천448명이 119구급차를 이용했다. 그 중 10.6%가 응급처치로 병원 도착 전 심장이 다시 뛰어 혈액 순환이 가능해지는 '자발순환 회복'을 했다.

국내 급성 심정지 환자 숫자와 자발순환 회복률은 증가 추세다.

급성 심정지 환자는 2008년 2만1천905명에서 2017년 2만9천262명으로 늘어났다. 병원 도착 전 자발순환 회복률은 같은 기간 1.2%에서 7.6%로 높아졌다.

소방청은 인구 고령화와 만성질환 유병자 증가로 심정지 환자가 많아졌다고 분석했다.

자발순환 회복률 상승은 구급대원·차량 확충, 구급대원 전문 자격자 비율 상승, 일반인 심폐소생술 교육 이수자 및 시행 횟수 증가 등 요인이 이끈 것으로 보인다.

자발순환 회복률은 대도시 12.2%, 농어촌 9.6%로 나타났다. 농어촌 지역은 119 도착 소요 시간이 길고 병원 이송 거리가 멀어서 회복률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소방청은 2022년까지 농어촌 지역에 95개 119 구급대를 배치해 이 편차를 줄일 계획이다. 또 구급대가 너무 멀리 있으면 구급 장비를 실은 소방 펌프차를 가장 가까운 소방센터에서 보낼 방침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