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 고용노동부 일자리공모사업 선정돼 23억5천만원 확보

신청한 3개 프로젝트 중 2개만 선정…확보 예산도 지난해보다 8억여원 줄어

대구시가 고용노동부와 함께 추진하는 일자리 공모사업 '2019년 지역혁신프로젝트'에서 2개 프로젝트가 선정돼 국비 23억5천만원을 지원받는다. 그러나 부산(33억원), 충북(29억원), 전남(30억원), 광주(24억원)에 비해 확보한 국비 규모가 적은데다 지난해 받은 공모 사업비 31억원에도 크게 못미쳐 아쉬움을 남겼다.

대구시는 고용노동부의 '지역혁신프로젝트'에 제출한 3개 프로젝트 중 2개 프로젝트가 선정됐다고 30일 밝혔다. 이 사업은 전국 17개 시·도가 지역 특성, 산업 여건에 따라 대규모 인적·물적 인프라를 투입하는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 지원사업이다. 대구 인적자원개발위원회가 시와 협의를 거쳐 프로젝트를 개발한 뒤 고용노동부에 제출, 공모를 거쳐 지원 대상을 선정한다.

시는 이번 공모에 '주력산업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프로젝트', '구직 취약계층 지원 일자리 연계 프로젝트', '고용 안정과 질 개선을 위한 일자리 안정화 프로젝트' 등 3개 프로젝트에 46억원을 신청했다. 이 가운데 '주력산업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프로젝트', '고용 안정과 질 개선을 위한 일자리 안정화 프로젝트'는 선정돼 각각 국비 22억원과 1억5천만원을 지원받지만 8억4천만원을 신청한 구직 취약계층 지원사업은 탈락했다.

'구직 취약계층 지원 일자리 연계 프로젝트'는 대구시와 경북도의 공동 일자리사업이다. 대구와 가까운 경산, 칠곡, 구미, 고령 등 6개 지역을 대상으로 노사민정이 찾아가는 일자리 연계사업을 진행하고, 한국노총 대구본부가 운영 중인 인적자원전문학교를 중심으로 필요인력을 양성할 계획이었다.

대구시 관계자는 "탈락한 프로젝트는 기존에 대구고용노동청이나 고용지원센터에서 진행 중인 일자리사업과 유사한 점이 감점 요인이 된 것 같다"면서 "수정계획서를 작성해 고용노동부에 제출했다"고 말했다.

한편 '주력산업 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 프로젝트'는 지역 주력산업을 육성해 맞춤형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4차산업혁명과 의료 및 ICT 융합, 핵심기반 활성화, 도시형 산업 현장 일자리 등 지역 주력기업들이 추진 중인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고용 창출과 연계하는 방식이다. '고용 안정과 질 개선을 위한 일자리 안정화 프로젝트'는 안정된 일자리를 위해 기업에 경영노무 컨설팅을 지원하고 지역 고용 정책 개발과 대구고용포럼 등을 진행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