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독립운동가 서영해 사찰한 80여년 전 佛 경찰문서 첫 확인

1920∼1940년대 프랑스에서 활약하며 유럽 열강들을 상대로 일제 식민통치의 부당함을 알린 독립운동가 서영해(徐嶺海·1902∼1949 실종)에 대한 프랑스 경찰의 사찰 보고서가 처음으로 확인됐다. 최근 들어 프랑스에서의 독립운동 행적이 활발히 재조명되고 있는 서영해의 국제적 활약상과 인적 네트워크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희귀사료다.

재불 독립운동사학자 이장규씨(파리7대 한국학 박사과정)와 파리 7대 마리오랑주 리베라산 교수(한불학회 '리베르타스' 회장)는 최근 파리 근교의 프랑스경찰문서보관소에서 1936년 작성된 경찰의 서영해 사찰 문건을 찾았다고 17일(현지시간) 밝혔다.

파리의 한 경찰서장 명의로 1936년 11월 23일 작성돼 프랑스 내무부 산하 정보국장과 경찰청장에게 송부된 1장짜리 보고서다. 이 문서에는 서영해의 출생 사항(1904년 부산 출신의 독신 한국인), 프랑스 입국 시점(1920년 12월 13일), 프랑스 대학에서 수학한 내용(언론학 학위 취득), 파리에서의 언론·정치활동 등이 상세히 기술돼 있다.

특히, 서영해가 1928∼1929년 잡지 '유럽'(L'Europe)과 문학잡지 '세계'(Monde)와 협력했다고 언급한 것과 '반(反)파쇼 반전 투쟁위원회'의 일원으로 활동한 대목이 눈길을 끈다. 두 잡지와 서영해가 함께 일했다는 사실은 세계평화를 고민하는 당대 유럽의 지식인들과 그가 상당히 밀접히 교류한 정황을 짐작하게 한다.

당시 인도차이나 등 세계 곳곳에 광대한 식민지를 두고 있던 프랑스는 자국에서 활동하는 식민지 독립투사들의 활동을 예의주시했다. 국내 학계는 프랑스 경찰이 한국의 독립투사 서영해를 감시해 상부에 보고한 이 문건의 사료적 가치에 주목하고 있다.

서영해는 유럽에서의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1995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된 독립지사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프랑스 통신원으로 활약했고 임시정부 초대 주불대표를 지냈다. 1947년 귀국해 해방정국의 극도의 혼란을 겪던 정치판과 거리를 둔 채 문화 부문에 힘을 쏟다가 1949년 상하이 인성학교 교사로 근무하던 중 행방불명됐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