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2차대전 종전 상징 '수병과 간호사 키스' 사진 남주인공 별세

기쁨에 취해 무작위 키스하던 수병, 고향서 눈감아

지난 1945년 8월14일 제2차 세계대전 종전을 축하하는 미국 뉴욕 타임스 스퀘어의 인파 속에서 한 수병이 흰색 가운의 여성과 키스하는 장면의 사진. 2차 대전 종전을 상징하는
지난 1945년 8월14일 제2차 세계대전 종전을 축하하는 미국 뉴욕 타임스 스퀘어의 인파 속에서 한 수병이 흰색 가운의 여성과 키스하는 장면의 사진. 2차 대전 종전을 상징하는 '수병과 간호사 키스'로 유명한 이 사진의 남자 주인공 조지 멘돈사가 로드아일랜드주 뉴포트에서 95세를 일기로 별세했다고 CNN이 18일 보도했다. 이 사진에 나온 여성은 당시 치과병원 위생조무사로 일하던 이디스 셰인으로 2016년 세상을 떠났다. 연합뉴스

2차 대전 종전을 상징하는 사진으로 유명한 '수병과 간호사 키스'의 주인공인 조지 멘돈사가 95세를 일기로 로드아일랜드주 뉴포트에서 별세했다고 CNN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수병과 간호사 키스' 또는 '더 키스'(The Kiss)로 명명된 이 사진은 1945년 8월 14일 2차 대전 종전을 축하하며 뉴욕 타임스스퀘어에 쏟아져 나온 수만 명의 인파 속에서 검은색 해군 수병 복장의 병사가 흰색 가운을 입은 간호사 복장의 여성을 끌어안고 허리를 젖힌 뒤 키스 세례를 퍼붓는 장면이다.

여성은 전쟁이 끝났다는 소식을 듣고 사실을 확인하러 광장으로 걸어 나오다 기습적인 키스 세례를 당했다. 이 사진에 나온 여성은 당시 치과병원 위생조무사로 일하던 이디스 셰인으로 2016년 세상을 떠났다.

해군 전역 후 로드아일랜드에서 어업에 종사한 멘돈사는 한동안 사진의 주인공으로 알려지지 않았다. 2000년대 중반 미 해군전쟁박물관이 고고인류학 기법을 동원해 사진에 나온 인물의 두발 형태 등을 정밀 분석한 결과 멘돈사를 사진 속 인물로 특정했다.

멘돈사는 처음에는 사진의 주인공이 자신이 아니라고 극구 부인하다 결국 사실을 인정했다. 2009년 이후에는 유명한 자신의 사진을 들고 여러 차례 기념촬영을 하기도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