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대구국제공항 취항 항공사들에 대한 재정지원 정책을 대폭 축소하기로 결정하면서 항공업계가 불만을 터뜨리고 있다.
시는 지난 2014년부터 '대구국제공항 활성화 지원 조례'에 따라 항공사들이 대구공항에 신규 국제선 노선을 취항하면 처음 1년간 정착금 개념의 재정지원을 해왔다. 하루 왕복 탑승률이 75% 미만인 노선에 최대 600만원까지 보조금을 지원했다.
덕분에 대구공항의 국제선 노선 수가 7배가량 늘었지만 한편에선 "투입 예산에 비해 지역경제 기여도가 미미하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5년간 26억여원의 보조금이 지원됐지만, 대구를 찾는 외국인보다 외국으로 나가는 내국인이 훨씬 많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대구시는 올해부터 보조금 지원 기준 탑승률을 75%에서 70%로 바꾸고, 지정된 '정책 노선' 8개만 지원하기로 했다.
그러나 항공업계에선 지나치게 빨리 지원 정책 축소에 들어갔다고 지적한다. 특히 저비용항공사(LCC) 간 출혈 경쟁 심화로 평균 탑승률 70%를 넘겨도 절반가량의 노선이 적자를 면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지원 정책마저 축소하면 대구공항에 새로운 노선을 만드는 데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다는 게 항공업계의 설명이다.
한 항공사 관계자는 "성급한 정책 변화로 항공사들이 대구공항 새 노선 취항에 소극적이 되고, 이는 곧 대구공항 성장의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다"고 했다.
반면, 김해공항의 경우 국제선 이용객만 1천만명을 넘겨 대구의 5배에 달하지만 여전히 부산시는 신설 노선 전체를 대상으로 지원하고, 기준 탑승률도 78~80%로 대구보다 높다. 충북의 경우도 올해부터 청주공항에 신규 국제선을 취항하는 항공사에 최대 4억원(기존 2억원)의 보조금을 주기로 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항공사, 국토부 등과 협의해 정책 노선을 바꿀 수 있고, 기준 탑승률 70%도 재검토할 수 있다. 다만 대구공항은 포화상태여서 김해·김포와 달리 양적 팽창이 더 이상은 어려운 상태인 점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