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김정은 전용열차 중국 내륙 58시간 관통 베트남행

베트남과 접한 중국 핑샹 도달…최단 노선 택해

북한 조선중앙TV는 24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전날 제2차 북미정상회담이 열릴 베트남 하노이로 출발하는 영상을 약 2분 40초 분량으로 편집해 보도했다. 사진은 김 위원장이 평양역에서 전용열차에 오르기 전 환송 나온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에게 귀엣말하는 모습.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연합뉴스
북한 조선중앙TV는 24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전날 제2차 북미정상회담이 열릴 베트남 하노이로 출발하는 영상을 약 2분 40초 분량으로 편집해 보도했다. 사진은 김 위원장이 평양역에서 전용열차에 오르기 전 환송 나온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에게 귀엣말하는 모습. [국내에서만 사용가능. 재배포 금지. For Use Only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distribution] 연합뉴스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리는 2차 북미 정상회담에 참석하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전용 열차가 최단 노선으로 중국 내륙을 종단해 베트남과 접한 국경 지역인 핑샹(憑祥)에 도달했다.

김정은 전용 열차는 베트남을 가기 위해 최단 노선을 택했음에도 중국에서만 무려 58시간 동안 이동한 셈이다.

소식통들에 따르면 김 위원장의 전용 열차는 26일 0시께(현지 시간) 류저우(柳州)에 이어 오전 3시께 난닝(南寧)을 거친 뒤 핑샹(憑祥)에는 오전 7시 15분에 도착했다.

김정은 전용 열차 도착에 앞서 오전 5시부터 핑샹역 주변에는 경찰들이 배치됐으며 전용 열차 도착 30분 전에는 선도 열차가 통과했다.

전용 열차는 지난 23일 평양에서 출발해 단둥(丹東), 선양(瀋陽), 톈진(天津), 스자좡(石家莊), 우한(武漢), 창사(長沙), 헝양, 구이린(桂林), 류저우, 난닝(南寧)을 거치며 중국 내륙을 종단했다.

이 노선은 광둥(廣東)성의 광저우(廣州)를 거치지 않은 채 중국과 베트남의 접경으로 가는 최단 경로이다.

이러한 동선은 26일 오전 하노이에 도착하기 위해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전용 열차는 핑샹에서 그대로 국경을 통과해 베트남 동당역에 오전에 도착, 김 위원장은 열차에서 내려 승용차로 하노이로 이동할 것으로 알려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