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3·1절 100주년 유관순 열사에 최고등급인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추가 수훈

26일 서울 서대문형무소 여옥사 내 거울방에 조형물과 함께 유관순 열사의 사진이 부착돼 있다. 정부는 이날 서울 백범기념관에서 개최한 현장 국무회의를 통해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유관순 열사에게 최고등급인
26일 서울 서대문형무소 여옥사 내 거울방에 조형물과 함께 유관순 열사의 사진이 부착돼 있다. 정부는 이날 서울 백범기념관에서 개최한 현장 국무회의를 통해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유관순 열사에게 최고등급인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가 서훈하기로 결정했다. 연합뉴스

정부는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유관순 열사에게 최고등급(1등급)인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가 서훈하기로 결정했다.

정부는 26일 오전 서울 백범기념관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주재한 현장 국무회의를 통해 국민의 올바른 역사관과 애국정신을 길러 민족정기를 드높이고 국민통합에 기여한 유관순 열사에게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가로 서훈하기로 의결했다고 국가보훈처가 밝혔
다.

유관순 열사에게는 3등급인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했으나 최근 유 열사의 공적을 평가할 때 훈격이 너무 낮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정부는 "3·1운동 100주년을 계기로 최고 훈장인 '대한민국장'을 수여해야 한다는 국민청원과 국회 특별법 제정 노력 등 사회 여러 분야의 국민적 열망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보훈처는 '동일한 공적에 대하여는 훈장 또는 포장을 거듭 수여하지 아니한다'는 현행 상훈법 때문에 유관순 열사의 사후(死後) 공적에 대해 추가 서훈하는 방식을 택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제100주년 3·1절 중앙기념식장에서 유관순 열사 유족에게 훈장을 직접 수여할 예정이다.

독립운동 공적으로 1차 서훈된 인사가 독립운동 활동이 아닌 다른 공적으로 건국훈장 1등급을 받은 경우는 여운형 선생에 이어 유관순 열사가 두 번째다.

여운형 선생은 독립운동의 공로로 2005년 건국훈장 대통령장(2등급)에 서훈됐으나, 대한민국 건국 공로로 2008년 1등급인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받은 바 있다.

유관순 열사는 이화학당 재학 중인 1919년 3월 5일 서울 남대문 독립만세 운동에 참여했고, 이어 4월 1일 충남 천안시 병천면 아우내 장터의 독립만세 운동을 주도하다가 일제에 체포되어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됐다.

이후 일제의 모진 고문으로 1920년 18세 꽃다운 나이로 옥중에서 순국했다. 정부는 열사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