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3·1절을 사흘 앞둔 26일 서울 용산구 효창동 백범 김구 기념관에서 현장 국무회의를 열었다. 전쟁 시기를 제외하고 공공청사가 아닌 외부에서 국무회의를 여는 것은 사상 처음으로, 3·1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의 의미를 부각시키겠다는 문 대통령의 의지가 담긴 일정이었다.
문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오늘 국무회의는 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는 국가적 의미를 담아 백범기념관에서 열게 됐다"며 "정부 최고 심의·의결 기관인 국무회의를 백범 김구 선생과 독립투사, 임시정부 요인들의 높은 위상과 불굴의 의지가 서린 뜻깊은 장소에서 하게 되니 마음이 절로 숙연해진다"고 밝혔다.
이날 장소 선정에는 정부가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한다는 문 대통령의 생각이 담긴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이날 "백범기념관과 함께 후손들에게 독립운동 정신과 민주공화국 역사를 전승할 대한민국 임시정부 기념관도 건립되고 있다. 이 모두가 우리를 당당하게 세우고 새로운 미래 100년을 준비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친일을 청산하고, 독립운동을 제대로 예우하는 것이 민족정기를 바로 세우고 정의로운 나라로 나아가는 출발"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국무회의에 앞서 이날 오전 효창공원 안에 있는 백범 김구 묘역을 참배했다. 이후 문 대통령은 삼의사(이봉창, 윤봉길, 백정기) 묘역을 참배했고, 안중근 의사 가묘를 참배하면서는 보훈처 관계자로부터 가묘 및 표지석 설치 배경에 대한 설명도 들었다.
한편 문 대통령은 26일 오후 청와대 본관에서 '제8기 국민추천포상 수여식'에 참석, 우리 사회를 따뜻하게 만드는 데 기여한 숨은 영웅들에게 훈·포장과 표창을 수여한 뒤 간담회를 가졌다.
아덴만 여명 작전 중 부상당한 석해균 선장과 판문점으로 귀순한 병사를 치료하며 국내 중증외상 분야를 발전시킨 이국종 교수, 1990년 이탈리아에서 한국으로 와 안나의 집을 설립하고 150만 명에게 무료급식을 제공한 김하종 신부 등 6명이 국민훈장을 받는 등 모두 42명이 훈·포장 및 표창을 받았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