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북미정상회담이 26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하노이 입성을 시작으로 사실상 일정에 돌입한 가운데 최대의 관전 포인트는 '하노이 선언'에 담길 비핵화 및 상응조치의 내용으로 꼽힌다.
두 정상이 28일 서명할 것으로 보이는 '하노이 선언'은 작년 1차 북미정상회담(싱가포르) 합의의 3대 축인 완전한 비핵화, 새로운 북미관계 수립,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등을 구체화하는 내용을 담게 된다.

최대 관심사는 선언에 명기될 비핵화 조치의 수위다.
작년 9월 남북정상회담 때 김정은 위원장이 미국의 상응조치를 전제로 언급한 '영변 핵시설 폐기'가 어떤 식으로 표현될지 주목된다.
우라늄 농축시설을 포함한 영변 모든 시설의 영구적 폐기 시한 등이 합의문에 명시될지 주목되는 것이다.
만약 미측 상응조치와의 조율이 여의치 않을 경우 합의문에는 영변 핵시설의 폐기보다 수준이 낮은 동결(가동중단)을 담을 수도 있다.
한국전쟁의 종전선언이 포함될지도 관전 포인트다.
25일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북미 양자 종전선언 가능성을 언급한 가운데, '평화선언'으로 명명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종전선언이 하노이 선언에 명기되거나 부속 문서로 도출될 경우 그것은 1950년 한국전쟁 발발 이후 69년 만에 북미 적대관계 청산과 양국 수교,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향한 중대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와 더불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돌출 발언 여부도 관전 포인트로 꼽힌다.
작년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1차 북미정상회담 직후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한미연합훈련에 대해 '도발적'이라고 규정하고, '고비용' 문제를 제기하며 중단을 전격 선언했다. 정상회담 합의문에 담기지 않았던 내용이며, 그 발언을 북미정상회담 당일에 할 것으로 예상한 사람이 거의 없었다.
한미동맹과 한반도 안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을 한국 정부는 물론 자국 정부의 담당 각료와도 제대로 협의하지 않고 발표한 데 대해 한국인들은 충격을 받았다.
외교가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2차 정상회담에서 또 한번 한미동맹과 관련한 '돌출발언'을 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그 대상은 작년 6월 12일 기자회견에서 '귀국시키고 싶다'고 언급한 주한미군이 될 수 있다고 일각에서는 보고 있다.
미국 정부 요인들은 주한미군의 철수 또는 감축은 이번 정상회담 의제가 아니라고 누차 밝혀왔다.
그럼에도 '트럼프의 충동'이 발동할 경우 김 위원장과의 협상 과정에서 비핵화를 이끌어 내기 위한 상응조치 차원에서 거론할 가능성에 주목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1차 북미정상회담 때와 마찬가지로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에도 올해 상반기 계획된 한미연합훈련을 중단한다고 깜짝 선언할 가능성도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