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피시설 집합지' 대구 서구 주민 지원 요구 거세…서명운동도 논의

서구의회 차원에서 지속적인 공론화 시도…市 "환경상영향조사 결과에 따라 결정하겠다" 입장 고수

음식물쓰레기·분뇨·하수처리장 등이 밀집해 '기피시설 집합지' 불리는 대구 서구 주민의 환경 피해 보상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서구는 각종 기피시설이 들어서 있음에도 보상 대상에서 제외돼 방천리위생매립장 인근 주민들과의 형평성 논란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그동안 대구시는 '환경자원시설 주변영향지역 지원 등에 관한 조례'와 폐기물시설촉진법에 따라 주민지원기금을 마련하고, 달성군 다사읍 방천리위생매립장 일대 주민 2만여 명에게 수년간 연 20억원 상당의 보상금을 지급해왔지만 서구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했다.

그러나 방천리위생매립장의 침출수가 관로를 따라 4.2㎞ 이동한 뒤 서구에서 처리되는데 대해 '침출수 처리장도 관리형 매립시설에 해당한다'는 유권해석을 최근 환경부가 내림에 따라 서구 주민들의 지원 요구가 잇따를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지난달 21일 열린 서구의회 제 209회 임시회에서 이주한 구의원은 "상리동도 방천리위생매립장 간접영향권 내 지역인데 지원은 전무하다"며 "서구청이 나서서 기존 대구시 조례를 개정을 요구하거나 새 조례 제정에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구의회는 지난해 12월과 올 1월 상리동 주민들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주민설명회를 개최한 바 있다.

성복수 상리동 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은 "방천리매립장에서 날아오는 악취로 상리동 주민들도 고통받고 있는데 혜택을 전혀 못 받는다는 것은 불공평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상리동 주민들도 지난달 22일 서구청장을 면담하는 등 본격 움직임에 나섰으며, 조만간 서명 운동을 벌일 예정이다.

시의회도 문제 제기에 동참하고 있다. 김동식(경제환경위원회) 대구시의원은 "시가 하루빨리 음식물처리장과 분뇨처리장 등 주변 주민들이 받는 영향을 조사해야 한다"며 "환경상 영향만 확정되면 현재 조례로도 서구 주민을 지원할 수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 관계자는 "올해 말이면 환경자원시설 주변지역 환경상영향조사 결과가 나온다. 결과에 따라 향후 지원 대책 마련을 고민하겠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