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하노이 핵 담판이 물거품으로 끝났지만 문재인 대통령은 개성공단·금강산관광 등 남북경제협력을 통한 남북관계 개선에 대해 강한 의지를 다시 한번 내비쳤다.
북미정상회담 결렬에도 불구, 문 대통령은 "(이번 회담이) 더 높은 합의로 가는 과정"이라며 "미국·북한과 긴밀히 소통하고 협력해 양국 간 대화의 완전한 타결을 반드시 성사시켜 낼 것"이라고도 했다.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북한과 미국의 이견이 큰 것으로 하노이 회담에서 확인된 상황에서 북한 비핵화에 대한 비관적 전망이 커진 국내외 여론을 극복하고 문 대통령이 어떤 중재 역할을 할 지 주목된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3·1절 100주년 기념식에 참석, 기념사를 통해 "이제 우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베트남 하노이에서의 2차 북미정상회담도 장시간 대화를 나누고 상호이해와 신뢰를 높인 것만으로도 의미 있는 진전이었다"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신(新)한반도체제로 담대하게 전환해 통일을 준비해 나가겠다"며 "신한반도체제는 우리가 주도하는 100년의 질서이며 국민과 함께 남북이 함께 새로운 평화협력의 질서를 만들어 낼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신한반도체제는 이념·진영의 시대를 끝낸 새로운 경제협력공동체다. 한반도에서 평화경제 시대를 열어나가겠다"고 언급한 뒤 이를 위해 "금강산관광과 개성공단 재개방안도 미국과 협의하겠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비핵화가 진전되면 남북 간 경제공동위원회를 구성해 남북 모두가 혜택을 누리는 경제적 성과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라며 "한반도 평화는 남과 북을 넘어 동북아·아세안·유라시아를 포괄하는 새로운 경제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3·1절 기념사 앞부분에서 "담배를 끊어 저축하고, 금은 비녀와 가락지를 내놓고, 심지어 머리카락을 잘라 팔며 국채보상운동에 참여했던 노동자와 농민, 부녀자, 군인, 인력거꾼, 기생, 백정, 머슴, 영세 상인, 학생, 승려 등 우리의 장삼이사들이 3·1 독립운동의 주역이었다"고 발언, 대구에서 시작된 국채보상운동이 3·1 운동의 원동력이 됐다는 취지의 평가를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