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역사상 최초의 여왕인 신라 27대 선덕여왕을 기리는 불교행사인 '부인사 선덕여왕 숭모재'가 오는 4월 19일(금) 오전 11시 대구시 팔공산 부인사 경내 숭모전에서 개최된다.

부인사는 7세기 중반 경 신라 27대 선덕여왕에 의해 창건되었다는 설이 유력한 사찰로, 숭모전에서 매년 3월 보름 열리는 '숭모재(崇慕齋)'를 통해 신라 선덕여왕을 100여 년 동안 기려오고 있다. 올해로 제33회를 맞는 숭모재는 2014년 제28회 행사부터는 축제의 의미로 쓰던 제(祭)를 불교의 의식을 의미하는 재(齋)로 바꾸면서 의미를 바로잡아 진행해왔다.
특히 지난해에는 대구시에서 손연칠 화백(동국대 명예교수)에게 의뢰, 제작한 선덕여왕 새 영정(影幀)을 문화재청으로부터 정부표준영정 98호로 지정받아 봉안함으로써 행사의 격을 높였다.
이번 '숭모재'에는 부인사 선덕회 회원들로 구성된 공양단의 '육법공양'과 서울 봉원사 범패 스님들의 '바라춤' ' 나비춤' 등 전통불교의식이 펼쳐지며, 미당 서정주의 시 '선덕여왕찬'과 숭모전 주련의 칠언시 4구를 노래로 만든 '숭모전 주련송'을 국악연주단의 연주와 민요중창단의 노래로 만나게 된다.

'산사의 국악공연'에는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정순임 명창의 판소리와 TV프로그램 '불후의 명곡'에서 성가를 높인 소리꾼 고영열의 무대, 가야금 병창 '더 미소'의 노래, 젊은국악단 '흥.신.소'의 노래와 연주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꾸며진다. 부인사는 2014년부터 매년 격조 높은 전통국악공연을 숭모재와 함께 개최해 왔으며 지금까지 김영임, 신영희, 안숙선 등 유명국악인들이 출연했다.
또 부인사 삼광루에서는 삼국사기에 기술된 선덕여왕의 인품인 '관인명민'(寬仁明敏)을 주제로 작은 전시회가 열리며 '부인사 선덕여왕 어진(御眞)변천사'도 새롭게 볼 수 있다. 표준영정을 포함 4점의 선덕여왕의 모습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어 이채롭다. 이날 숭모재에 참석한 사람들은 부인사에서 제공하는 사찰음식으로 점심을 제공하다.

부인사 주지 종진 스님은 "불교는 자비와 지혜를 함께 가진 가르침이므로 부처님과 선덕여왕을 기리는 부인사는 분명 자리(自利)와 이타(利他)의 가람"이라면서 "숭모재가 대구를 대표하는 전통문화콘텐츠 중의 하나가 되기 위해 잘 가꿔 나가겠다"고 했다. 문의 053)982-5006.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