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열발전소 관정에 주입된 고압의 물이 알려지지 않은 단층대 활성화해 지진 촉발

포항 지진은 인재

20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대한지질학회 주최로 열린
20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대한지질학회 주최로 열린 '포항지진과 지열발전의 연관성에 관한 정부조사연구단 결과 발표 기자회견'에서 포항지진 시민연대 회원들이 정부의 책임 인정과 보상을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2017년 11월 발생한 포항지진(규모 5.4)이 인근 지열발전소에 의해 촉발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에 포항지진은 지반 안전성 등에 관한 사전 준비 없이 조급하게 추진된 사업 때문에 빚어진 인재라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포항지진과 지열발전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조직된 포항지진 정부조사연구단은 20일 포항지진의 원인에 대해 '인근 지열발전소가 땅속에 고압의 물을 주입하는 과정에서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단층대를 활성화해 본진을 촉발했다'는 내용의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지열발전소는 땅속 4∼5km 깊이에 구멍을 뚫고 다량의 물을 넣어 지열로 데운 뒤 여기서 발생한 증기로 터빈을 돌린다.

지하에 고압으로 물을 주입하고 빼내는 과정에서 지반이 약해지고 단층에 스트레스가 가해져 지진이 일어날 수 있는데, 연구단은 지열발전이 이런 원리로 포항지진에 원인을 제공했다고 발표했다.

정부조사연구단은 국내조사단과 해외조사위원회로 구성되는데, 이날 발표 결과는 두 그룹의 독립적인 조사 내용을 종합한 내용이다.

다만, 정부조사연구단은 지열발전이 포항지진에 원인을 제공했지만, 지진의 규모는 지열발전만으로 생길 수 있는 규모를 넘어섰다고 밝혀 논란의 여지를 남겼다.

이강근 정부조사연구단장은 "'유발지진은 자극이 된 범위 내', '촉발지진은 자극이 된 범위 너머'를 뜻하는데 그런 의미에서 (포항지진은) '촉발지진'이라는 용어를 썼다"며 "(포항지진은) 자연지진은 아니다"고 말했다.

촉발 지진은 포항지진 일부만 지열발전의 책임이고 나머지 더 큰 부분은 지열발전 외 요인이라는 뜻이다.

포항지진이 자연지진이 아닌 것으로 결론 난 만큼 정부가 관리책임을 완전히 면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다만 지진이 지열발전으로 가능한 규모를 넘은 대규모 지진이라는 조사 결과는 정부의 책임을 한정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포항시민들은 정부가 추진한 지열발전으로 인해 지진이 발생한 만큼 정부가 책임지고 포항시민들에게 피해를 보상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결과 발표 후 진행된 질의응답 시간에는 향후 지진 재발 우려에 대한 질문이 나왔다.

박명재 한국당 국회의원(포항남·울릉)은 '현재 운용이 중단된 지열발전소는 어떻게 처리하는 것이 좋은지', '그대로 두면 또 지진이 발생할 수 있는지' 등에 대해 질문했다.

이에 이강근 정부조사연구단장은 "앞으로 안전한지에 대한 문제는 이번 연구조사의 대상은 아니었다"면서도 "다만 해당 단층은 지난 지진으로 압력이 상당 부분 해소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관심을 모았던 포항지진과 경주지진의 연관성에 대해 정부조사연구단은 연관이 없다는 결론을 내놨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