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 의료폐기물이 경북으로 몰리고 있어 시스템 개선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의성군 쓰레기산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논란이 된 가운데, 경북이 더 이상 '폐기물 도시'의 오명을 덮어쓸 수는 없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경주·대구환경운동연합은 26일 성명을 발표하고 "전국 의료 폐기물 중 30%가량이 경북에 몰리고 있다"며 "대책 없이 주민 희생만 강요하는 시스템은 바뀌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의료폐기물은 의료기관 등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중 특별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특히 감염성 의료폐기물은 국민 건강의 잠재적 위험 요소로 꼽힌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7년 기준 전국 의료폐기물 발생량은 21만9천t이다. 이중 서울 5만3천152t(24.3%), 경기 3만6천365t(18%), 인천 9천550t(4.4%) 등 수도권이 전체의 46.7%를 차지하고 있다. 대구와 경북은 각각 1만447t(4.8%)과 9천100t(4.2%)으로 합쳐서 9%의 폐기물이 나오고 있다.
문제는 대구경북은 발생량보다 처리량이 지나치게 많다는 점이다. 경주·대구환경운동연합이 전국 14곳 의료폐기물 위탁처리업체의 시설현황을 분석한 결과 경주·고령·경산 등 경북 3곳 업체가 전체 물량의 30%가량을 처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주·대구환경운동연합은 "의료폐기물 소각장의 지역 편중이 심해 멀리 떨어진 처리시설까지 장거리 운반된다는 점이 큰 문제"라며 "감염 등 위험이 있는 의료폐기물이 수백 킬로미터 운송돼 소각되는 구조는 하루빨리 개선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