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의 지속적인 인구 유출을 막고 삶의 질을 높이려면 단일 행정구역 중심이 아닌 도시권 차원에서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광역생활권을 형성하고 중심도시와 주변지역의 동반성장을 위한 공간전략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대구경북연구원 류형철, 김주석, 김수성, 현준용 박사 연구팀은 27일 '대경 CEO 브리핑'을 통해 도시권 차원의 인구 정책 전략을 제시했다.
연구팀이 국가교통DB센터 자료를 통해 2010년과 2016년의 지역 내 가구별 일일통행 패턴을 비교해 보니 대구광역도시권, 서부권, 동해안권, 북부권 등 4개 도시권 내에서 시·군 간 통행이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시권 내에 행정 경계를 넘어서는 일일 통행량은 시 단위의 경우 2010년 6만4천423회에서 2016년 8만6천743회로 38.8% 증가했다. 군 단위도 같은 기간 1만4천498회에서 2만351회로 70.3% 급증했다.
모든 도시권에서 인구 유출은 공통된 현상이었다. 통계청 자료 분석 결과 2007~2016년 대구경북에서는 19만9천184가구가 타지역으로 옮겼다. 권역별 가구 수 대비로는 동해안권이 11.9% 감소했고, 대구광역도시권(9.8%), 북부권(7.7%), 서부권(2.9%) 등의 순이었다. 대구경북에서 인구가 늘어난 곳은 성주(8.4%)와 청도(7.0%), 칠곡(0.8%), 울릉(10.9%) 등 4곳에 불과했다.
인구가 빠져나가는 가장 큰 요인은 주택과 교육, 직업 등이 꼽혔다. 특히 직업 문제로 지역을 떠난 가구는 10년 간 15만6천872가구로 전체 유출가구 중 78,7%를 차지했다. 다만 가족이나 건강, 주거환경 등은 인구를 끌어들이는 요인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도시권 특성에 맞는 인구 감소 대응 전략을 제시했다. 대구광역도시권은 권역내 주변지역과 통근·통학, 구매, 위락 등 다양한 기능을 유기적으로 연계해야 하고 동해안권은 광역 SOC를 조기에 확충해 포항·경주 중심의 네트워크 도시권을 형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서부권의 경우 인구유입 기반인 구미국가산단과 김천혁신도시를 단일생활권으로 묶는 노력이 필요하고, 북부권은 도청신도시 중심 도시권 형성을 위한 신업 발굴과 권역 내 도로망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류형철 박사는 "도시권 전략은 권역 내 개별 지역이 당면한 한계를 극복하고 소모적 경쟁을 지양하면서 공간적 발전을 모색하는 유용한 수단"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