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총인구가 10년 뒤부터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2067년에는 생산연령인구가 지금의 절반으로 줄어 부양 부담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장래인구특별추계 2017∼2067년'에 따르면 출생과 사망, 국제이동 등의 양상을 적용해 미래 인구 변화를 30가지 시나리오로 추정한 결과 중위 추계 시나리오 기준 총인구가 2028년 5천194만명을 기록한 이후 2029년부터 감소하기 시작한다.
중위 추계는 인구 변동에 영향을 주는 출산율과 기대수명, 국제순이동이 중간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가정을 바탕으로 작성된 시나리오다.
중위 추계에 따르면 총인구는 2017년 5천136만명에서 2067년 3천929만명으로 줄어든다. 이는 1982년 수준으로 인구가 줄어든다는 예측이다. 2016년에 발표한 인구추계의 중위 시나리오와 비교해 총인구 감소 시점은 3년 앞당겨졌다.
중위 추계를 보면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2017년 총인구의 73.2%였지만 2067년에는 45.4%로 전체 인구의 절반 수준으로 비중이 줄 전망이다. 생산연령인구는 2017년 3천757만명에서 10년간 250만명이 줄고, 2067년에는 1천784만명 수준으로 축소된다. 같은 기간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율은 13.8%에서 46.5%로 상승하고, 14세 이하 유소년인구 비율은 13.1%에서 8.1%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부양할 인구인 총부양비는 2017년 36.7명에서 2067년 120.2명이 된다. 한국의 총부양비는 2017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최저 수준이지만 2065년에는 가장 높아진다.
정부는 "인구 문제가 매우 심각하다는 점을 재인식하고 범부처 차원에서 보다 적극적이고 신속하게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며 인구정책 태스크포스(TF)를 만들어 종합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