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조동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의 지명을 철회하고 최정호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 자진 사퇴 의사도 받아들이면서 국정을 쇄신하려고 단행한 개각이 오히려 문 대통령에게 정치적 내상을 입히게 됐다.

31일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브리핑에서 "조 후보자는 해외 부실 학회에 참석한 사실을 본인이 밝히지 않았고, 교육부와 관련 기관의 조사에서도 드러나지 않았기에 검증에서 걸러낼 수 없었다"며 "해외 부실 학회 참석 사실이 사전에 확인됐다면 후보 대상에서 제외됐을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조국 민정수석은 지난해 5월 8일 인사검증 개선 방안과 관련 "허위로 답변하거나 관련 사실을 숨긴 경우에는 향후 공직 임용에서 배제될 수 있다"고 했는데, 조 후보자가 첫 케이스가 된 셈이다.
최 후보자는 부동산 투기 의혹이 발목을 잡았다. 최 후보자 내외가 아파트 3채를 보유 중이고 23억원의 시세차익을 거둔 사실이 알려지자 '부동산 투기를 잡아야 할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가 부동산 투기로 수십억을 벌었다'는 비판이 정파와 이념을 초월해 터져나왔다. 김의겸 전 청와대 대변인이 거액의 부동산 매입 논란으로 사퇴한 상황에서 최 후보자가 버틸 명분이 없었다는 분석도 있다.
청와대는 이날 "국민의 눈높이를 맞추는 데 미흡했다.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인사실패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집권 중반기를 맞아 국정을 쇄신하고 국정운영 동력을 끌어올리려고 단행한 개각이 도리어 문 대통령의 발목을 잡은 것이다.
민주당 지도부는 지난 29일 두 후보자에 대한 당의 부정적 기류를 내놓았다. 결국 청와대가 당의 목소리를 수용한 모양새가 됐다. 눈앞에 닥친 4·3 보궐선거를 의식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 때문에 총선이 다가올수록 당·청 관계에서 당이 차지하는 공간은 점점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 지지율 추이에 따라 이런 추세는 더욱 가팔라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여야 관계의 주도권 등 정치권 전반의 역학 변화가 시작되는 변곡점일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