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조사에서 지난해 경북에서 대기오염 물질을 가장 많이 배출한 사업장은 포스코 포항제철소로 나타났다. 포항제철소가 대규모 사업장이기도 하거니와 굴뚝 산업의 전형인 만큼 오염물질 과다 배출은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니다. 사실, 포스코가 지역 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이 워낙 크기 때문에 행정기관이나 지역 주민들이 대기오염 자체를 알고도 모른 체하는 경우가 많았다.
포항 시민들은 포항제철소가 대기오염 물질을 내뿜는다는 사실을 생활에서 체감한다. 얼마 전만 해도 제철소에서 몇㎞ 내에 있는 주민들은 창문을 열고 생활하기 힘들 정도였다. 빨래나 담아놓은 물 등에서 석탄가루 같은 시커먼 물질이 발견되는 걸 보면 제철소의 오염물질 배출이 시민 생활을 위협하는 수준임을 알 수 있다.
얼마 전 기계 시스템 고장으로 굴뚝에서 여과되지 않은 노란 연기가 피어올라 난리가 났지만, 몇 년 전만 해도 노란 연기는 예사로 보였다. 이런데도, 환경부는 물론이고 경북도, 포항시는 제철소의 대기오염 배출량, 단속 실적 등을 공개하지 않고 눈감아주는 모습을 보였다. 과거에 포항시가 포스코를 압박하는 수단으로 '환경 단속'을 들먹일 정도였으니 대기오염은 포스코의 아킬레스건이나 마찬가지였다.
포스코가 지금까지 여론의 포화를 맞지 않은 것은 상당 부분 지역사회에 대한 기여도 때문일 것이다. 타 기업에서 전례를 찾을 수 없을 만큼 지역 주민에게 각종 지원·혜택 등을 제공했기에 대기오염 논란에서 그럭저럭 버틸 수 있었지만, 이제는 더 이상 그럴 수 없다.
포스코가 지난달 2021년까지 포항·광양제철소의 미세먼지를 저감하기 위해 1조700억원을 투자해 시설 개선에 나서겠다고 했지만, 그것으로는 부족하다. 정기적으로 대기오염 물질 배출량을 세세하게 공개하고 시민의 협력을 구하는 것이 우선이다. 기업 활동도 중요하지만, 시민의 건강권보다 중요한 것은 없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