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부는 포항지진 촉발 책임을 지고 포항시민이 입은 피해를 배상하라"

포항시민 3만여 명 운집 '범시민 결의대회' 열려

2일 포항 북구 덕산동 육거리에서 열린
2일 포항 북구 덕산동 육거리에서 열린 '포항시민 결의대회'에 운집한 시민 2만여 명이 정부에 '포항지진 피해 배상과 지역 재건 특별법 재정'을 요구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배형욱 기자

포항시민 2만여 명(포항시 추산)이 운집해 정부에 포항지진 촉발 책임을 촉구했다.

포항 11·15지진 범시민대책위원회(이하 범대위)는 2일 포항 북구 덕산동 육거리에서 '범시민 결의대회'를 열고 "포항지진 피해 배상 및 지역재건 특별법을 신속히 제정하라"고 주장했다.

이날 결의대회에는 포항지역 70여 개 시민·사회단체와 가족 단위 시민들이 참여해 육거리부터 북포항우체국까지 700여m 구간을 가득 메웠다.

시민들은 주최 측의 구호에 맞춰 지진으로 고통받는 포항시민에 대한 정부의 실질적 보상책, 포항 남·북구 해안가에 설치 중인 이산화탄소 지중저장시설 완전 폐쇄, 범정부 대책기구 구성 등을 외쳤다.

이강덕 포항시장과 서재원 포항시의회 의장은 이번 결의대회에서 포항시민을 안전하게 지키지 못한 책임과 여·야 정당과 포항시민들의 화합, 특별법 재정 촉구의 의지를 담아 삭발했다.

이강덕 시장은 "시장으로서 지진에서 포항시민을 지키지 못한 것에 통감한다. 삭발식은 시민들의 아픔과 간절한 마음을 대변하고자 진행하게 됐다"며 "정부는 국민의 안전을 지키는 것이 가장 큰 책무인 만큼 특별법을 제정해 포항시민의 아픔을 어루만지고,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해달라"고 했다.

삭발식에 앞서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은 포항 흥해중 학생과 지진피해 이재민은 호소문을 통해 아직도 지진 공포와 회복되지 않은 일상을 토로하며, 대통령이 직접 문제 해결에 나서 줄 것을 요구했다.

시민들은 또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란 노래를 '우리의 소원은 특별법'으로 각색해 부르며 간절한 마음이 청와대와 각 정부 부처 등에 닿기를 염원했다.

이와 함께 현재 청와대 홈페이지에서 진행되고 있는 포항지진 특별법 제정 관련 국민청원이 20만명 달성을 넘어 100만명이 달성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은 퍼포먼스도 진행됐다. 2일 오후 3시 현재 국민청원 참여 수는 10만명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순서로 시민들은 구 포항역사까지 900여m를 행진하며 특별법이 서둘러 제정되기를 바랐다.

부대 행사로는 지진피해 사진전과 '시민들의 소원을 담은 소원지 보드판', 국민청원 안내 부스 등이 운영돼 시민들에게 큰 호응을 받았다.

공원식 범대위 공동위원장은 "앞으로 국민들과 정부, 국회의 관심을 끌어내고자 범대위 차원에서 지속해서 다양한 행사를 열겠다"고 했다.

행사에 참석한 시민 최문길(54) 씨는 "지진이 있고 나서 엄청난 공포에 시달려야 했고, 또 그 지진이 무책임한 사람들로 인해 발생했다는 것을 알고 나니 분노는 말할 수 없었다"며 "오늘 포항시민들이 이렇게나 모여 한목소리를 냈으니, 정부도 책임 있는 자세로 문제 해결에 임해달라"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