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드론 비행시험장 입지 두고 대구시 '안절부절'

달성군 구지면 낙동강변에 짓고 싶지만…"안전사고 우려" 달성군 반대 부닥쳐

대구시가 드론비행시험장 입지로 검토 중인 달성군 구지면 낙동강변에 조성된 오토캠핑장 전경. 달성군 제공.
대구시가 드론비행시험장 입지로 검토 중인 달성군 구지면 낙동강변에 조성된 오토캠핑장 전경. 달성군 제공.
대구시가 드론비행시험장 입지로 검토 중인 달성군 구지면 낙동강변에 조성된 오토캠핑장 전경. 달성군 제공.
대구시가 드론비행시험장 입지로 검토 중인 달성군 구지면 낙동강변에 조성된 오토캠핑장 전경. 달성군 제공.

드론산업 활성화의 핵심시설로 꼽히는 드론 전용 비행시험장의 입지를 두고 대구시가 난감한 처지에 놓였다.

드론 비행 공역으로 지정된 낙동강변에 지으려는 대구시의 계획에 대해 낙동강레포츠밸리를 조성한 달성군이 안전사고 우려가 크다며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서다.

양측의 의견이 엇갈리면서 시는 정부가 공모하는 '권역별 중소형 국가 드론 전용 비행시험장' 공모에 신청조차 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부터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드론 전용 비행시험장 유치 공모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달 경기 화성이 지정되는 등 충북 보은과 강원 영월, 경남 고성, 인천 등 전국 5개 지역에 비행시험장 설치를 확정했다.

그러나 시는 이 공모 사업에 유치 신청서도 내지 못했다. 지자체가 부지를 제공하고, 정부가 시험장을 건립해주는 방식이지만 아직 입지를 확정짓지 못했기 때문이다.

갈등이 일고 있는 입지는 달성군 구지면 낙동강변이다. 시는 2016년 이 일대에 고도 450m , 폭 1km, 길이 7.4km에 이르는 드론 비행 공역을 지정하고 안정성 검증 시범 사업을 진행해왔다.

시는 이 곳에 드론비행시험장을 유치하면 폭 30m, 길이 500m 야외 이착륙장과 3층 규모 관제소를 설치할 계획이다. 전용 시험비행장에서는 드론의 안전한 추적 감시가 가능한 비행시험 전용 장비가 구축돼 고고도(高高度) 비행과 야간비행, 비가시권 비행 등을 상시로 할 수 있다.

문제는 예정지 양쪽으로 대구시교육청의 대구교육낙동강수련원과 달성군이 조성한 낙동강레포츠밸리가 인접해 있다는 점이다. 교육낙동강수련원은 연간 3만3천명의 청소년들이 찾는 대표적인 수련시설이다. 올 3월 재개장한 낙동강레포츠밸리에는 각종 수상스포츠와 오토캠핑장 등이 들어선 상태다.

달성군과 시 교육청은 매년 수만명이 찾는 낙동강변에 추락사고 우려가 있는 드론 비행시험장이 들어서선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달성군 관계자는 "이미 수십억원을 투입해 관련 시설을 지은 상태이고, 안전사고 우려가 크다"면서 "드론비행시험장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안전 사고 우려가 없도록 위치를 옮겨 달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대에 부닥친 시는 수차례에 걸쳐 달성군 및 시교육청과 협의했지만 별다른 접점을 찾지 못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다른 위치로 옮겨서 적절성을 검토했지만 시야가 가려 부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면서 "서두르지 않고 의견 조정을 계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