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광장] '생각하다'의 참 의미

김노주 경북대 영어영문학과 교수

김노주 경북대 영어영문학과 교수
김노주 경북대 영어영문학과 교수

사람을 '생각하는 갈대'에 비유했던 파스칼은 '팡세'에서 "사람은 생각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생각은 사람의 모든 존엄성이고 모든 가치이다"라며 그 중요성을 역설했다. '방법서설'에서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라고 했던 데카르트는 생각 또는 의심을 극한까지 실천한 학자였다. 의심할 여지 없는 확실한 것을 찾으려고 자신의 존재조차 의심했지만 그가 도달한 결론은 '의심하고 있는 그 무엇'이며 '그 무엇이 자신'임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데카르트는 "나는 생각한다"라고 했을 때 '무엇을 생각한다'라고 그 '무엇'을 밝히지 않았다. 그 무엇은 무엇일까? 앞에서 밝혔듯이 생각은 사람됨의 전부이지만, 생각의 대상이 되는 그 '무엇'에 대한 규명은 부족했다.

우리는 무엇을 생각하는가? 필자가 다다른 결론은 '개체들의 속성과 개체들 간의 관계'이다. '개체'는 흔히 '대상'이라고도 하는데 이름이 붙여진 '책'과 같은 물건, '태풍'과 같은 현상 및 '미'(美)와 같은 상태를 말한다.

가령 세 개의 개체가 그려져 있는 도화지에 주의를 기울여 보자. 첫눈에 3개의 개체가 있음을 알게 된다. 세 개체에 차례로 주의를 쏟으면 세모(△), 네모(□) 및 동그라미(○)임을 알게 된다. 주의를 색상에 쏟으면 세모는 파랑, 네모는 노랑, 동그라미는 붉은색임도 알게 된다. 주의를 세 개체의 위치 관계에 기울여 보면 네모 위에 세모가, 네모 오른쪽에 동그라미가 있음을 알게 된다. 지금껏 우리가 생각한 것은 세 개체의 형태와 색상의 속성, 그리고 세 개체의 위치 관계였다.

눈앞에 있는 두 그루의 나무를 볼 때 우리는 무엇을 생각할 수 있는가? /두 그루의 버드나무가 서 있다. 왼쪽 것이 오른쪽 것보다 더 크다. 나뭇가지들이 머릿결처럼 출렁인다./ 여기서 우리가 생각한 것은 개체인 버드나무들의 속성(서 있는)과 또 다른 개체들인 나뭇가지들의 속성(머릿결처럼 출렁이는), 그리고 두 나무의 관계(왼쪽 것이 더 큰)이다. 결국 개체들의 속성과 그것들 간의 관계를 생각한 것이다. 나무를 쳐다보며 온종일 생각해도 결국 나무와 관련된 그것들 외엔 생각할 것이 없는 것이다. 이것이 생각의 본질이다.

이제 이것을 수업 현장에 적용해 보자. 각 과목, 각 단원에 나오는 모든 명사는 개체들의 이름이다. 모든 개체는 그 나름의 속성이 있고 존재 이유가 있다. 그리고 각 개체들 간에는 모종의 관계가 있다. 속성과 존재 이유, 그리고 관계를 끝까지 규명하라. 이것이 공부의 전부이다.

30년 전 미국 브라운대학의 교양수학 문제 중에 '자연수 5가 3보다 큰 것을 증명하시오'가 있었다. 5와 3의 속성과 그것들의 관계를 생각하게 하는 문제였다. 그 강의를 청강했던 필자는 아직도 정확한 답을 모른다. 기회가 있을 때마다 전공자들에게 물어보았지만 정확한 답을 해주는 분은 만나지 못했다. 이것이 이 나라 교육의 실상이다. 모래 위에 바벨탑을 짓고 있는 격이다.

나와 울산바위도 존재 이유가 있고 모종의 관계가 있다. 나뭇잎이 피고 지는 데도, 그리고 각각의 색깔로 변하는 데도 이유가 있다. "이유가 없다"거나 "관계가 없다"라고 함부로 결론짓지 마라. 단지 현재로선 그 이유와 관계가 명확하지 않을 뿐인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