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S&P "북미회담 후 상황, 韓신용등급에 영향 크지 않아"

"가계부채 부담스럽지만, 위기 초래할 것으로 보지 않아"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4일 하노이 북미 정상회담 이후 불거진 지정학적 리스크 우려와 관련해 "한국 국가신용등급에 영향이 크지 않다"고 밝혔다.

킴엥 탄 S&P 아시아·태평양지역 국가신용평가 팀장(상무)은 이날 서울파이낸스센터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과거 북한이 핵실험이나 미사일 발사 등 긴장을 고조시키는 활동을 많이 했을 때도 S&P는 한국 신용등급을 조정하지 않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다만 그는 "한국 국가신용등급을 제약하는 요인은 크게 두 가지"라며 "통일이 되면 남측이 부담해야 하는 재정부담인 우발채무와 안보 리스크"라고 전했다. 이어 "전쟁 가능성이 작긴 하지만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며 "신용등급 상향이 이뤄지려면 안보 리스크가 상당 수준 감소하거나 제거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탄 상무는 올해 한국 경제의 하방 리스크 요인으로 북한 관련 리스크와 함께 미중 무역분쟁, 중국 경제 둔화 등을 꼽았다. 그는 미중 무역분쟁과 관련해 "부정적인 것은 맞지만 한국에 그렇게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는 생각하지 않는다"며 "한국 전체 수출액 중 중국을 통해 가공무역으로 미국에 들어가는 비중이 5%가 안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 가계부채가 증가 중이고 추세가 계속되면 경제에 부담되는 것은 맞다"라면서도 "한국의 은행 건전성이 상당히 좋은 수준이고 유동성과 재무지표도 우량한 수준으로 본다"고 말했다.

S&P는 2016년 8월 한국의 국가신용등급을 'AA-'에서 'AA'로 상향 조정한 후 지금까지 이를 유지하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