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1천년 만에…백두산 분화 징후 포착

화산지진 벌써 3천회 가량 감지돼

백두산 천지. 매일신문 DB
백두산 천지. 매일신문 DB

1천년간 잠들어있던 백두산에서 화산 분화 징후가 포착돼 관계 당국의 대응책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5일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은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관련 토론회를 개최한다. 지하에 거대 마그마가 존재하는 활화산인 백두산에서 최근 화산분화 움직임이 잇따라 관측되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 기록을 보면 백두산은 지난 946년 한차례 대분화를 일으킨 것으로 추정된다. 학계에서는 당시 백두산에서 남한 전체를 1m 두께로 덮을 정도의 엄청난 분출물이 나온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 폭발은 지난 1만년 사이 지구에서 발생한 화산 분화 가운데 규모가 가장 컸다. 전문가들은 어떤 이유에서든 백두산 화산이 분화되면 2010년 아이슬란드 화산 분화의 1000배 이상 규모가 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이외에도 백두산은 2002∼2005년 사이 천지 부근에서 화산지진이 3,000회 이상 관측된 바 있다. 이 과정에서 천지가 부풀어 오르는 현상도 발견됐는데 학계에서는 모두 화산 분화 징후로 보고 있다. 백두산의 활발한 화산 활동이 이어지면서 범국가 차원에서 대규모 분화에 대비해야 할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지질연)과 심재권·이상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은 15일 국회 도서관 소회의실에서 '깨어나는 백두산 화산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한다. 토론회에는 학계·연구기관·언론·정부 부처 관계자 등 전문가 1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들은 이번 토론회에서 백두산 화산재해에 대한 과학적 접근 방법의 필요성 확산시키고, 인도주의적 대응책 마련을 위한 해결방안 등을 모색할 예정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