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스코, 조직효율화 차원에서 LNG 가공사업 재편…LNG터미널, 포스코에너지에 양도

최정우 회장이 지난 3월 인도네시아 크라카타우 포스코 제철소 고로 앞에서 현장직원을 격려하고 있다. 연합뉴스
최정우 회장이 지난 3월 인도네시아 크라카타우 포스코 제철소 고로 앞에서 현장직원을 격려하고 있다. 연합뉴스

포스코는 조직 효율화를 위해 액화천연가스(LNG) 중간 가공단계에 해당하는 LNG미드스트림(Mid-Stream) 사업을 재편한다. 포스코는 지난 12일 이사회를 열어 광양에서 운영 중인 LNG터미널을 포스코에너지에 양도하고, 포스코에너지가 보유하고 있던 포항·광양제철소 내 부생가스복합발전소를 흡수합병하기로 결정했다.

LNG 미드스트림사업재편은 지난해 11월 최정우 회장이 취임 100일을 맞아 발표한 '100대 개혁과제'중 하나다. 포스코는 사업 재편을 통해 포스코인터내셔널의 가스전 사업과 포스코에너지의 발전사업 간 시너지 효과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앞으로 LNG 도입 및 트레이딩 업무는 포스코인터내셔널에서 전담하고, LNG터미널 사업은 포스코에너지로 이관해 현재 운영중인 발전사업과 연계할 방침이다.

또 포스코는 포항·광양제철소의 부생가스복합발전소를 인수, 기존 자가발전설비와 통합운영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이고 제철소 전력공급도 더욱 안정시킬 계획이다. 부생가스복합발전소는 제철소 제철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생가스를 연료로 활용해 전기를 생산한다.

포스코에너지가 인수하는 LNG터미널은 지난 2005년 포스코가 국내 민간기업 최초로 광양제철소에 건설한 것으로, 현재 운영중인 1∼4호기와 건설중인 5호기를 포함해 LNG탱크 총 5기가 있다. 저장능력은 약 73만㎘다. 최정우 회장은 "LNG 미드스트림 사업 재편을 통해 그룹사업 간 업무효율을 높이고 더욱 탄탄한 사업구조를 갖출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천연가스는 개발·생산하는 업스트림(Up-Stream) 단계 가스를 액화해 수송·기화하는 미드스트림(Mid-Stream) 단계, 최종 소비자에게 가스를 공급하는 다운스트림(Down-Stream) 단계로 크게 구분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