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울릉도 산채류 전국에 신선 공급 가능

울릉도 산마늘. 농진청 제공
울릉도 산마늘. 농진청 제공
울릉도 섬쑥부쟁이. 농진청 제공
울릉도 섬쑥부쟁이. 농진청 제공

울릉도 특산물인 산마늘(명이나물)과 섬쑥부쟁이(부지갱이)를 앞으로 전국에서 신선한 상태로 맛볼 수 있게 된다.

농촌진흥청은 23일 예비 냉장과 포장, 수송 등 울릉도 산나물 유통 시스템을 개선해 전국으로 신선하게 공급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농진청은 먼저 신선 공급을 위해 갓 수확한 나물을 1∼2도(℃)의 온도에서 15∼24시간 예비 냉장한 뒤 산나물에 맞춰 산소 투과율을 조절한 기능성 필름으로 포장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공기구멍이 있는 골판지 상자에 담아 5℃의 냉장 컨테이너에 싣고 육지에서는 3℃ 냉장 상태로 판매점까지 이동한다.

그 결과 산마늘의 신선도 유지 기간이 10일에서 3주까지, 섬쑥부쟁이는 2주에서 3주 이상까지 2배 이상 늘어났다.

이런 기술을 통해 산마늘의 상품화율은 35%에서 83%로, 섬쑥부쟁이의 상품화율은 41%에서 95%로 대폭 높아졌다.

산마늘과 섬쑥부쟁이는 3, 4월 생산되는 울릉도의 대표 산나물로 시장 규모는 연간 400억원에 이른다.

농촌진흥청 관계자는 "신선 상태로 구매가 어려웠던 울릉도 산나물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지금까지는 택배로만 유통돼 절임이나 건조 상태로만 가능했다"며 "앞으로는 예비 냉장, 포장 기술, 수송 조건을 보급해 울릉도 산나물이 대도시 식탁까지 신선하게 유통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