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총리실, 부울경 검증단 검증 요구 "아직 받아들일 수 없다"

지난 3월 22일 오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교육·사회·문화에 대한 대정부질문에서 이낙연 국무총리가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3월 22일 오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교육·사회·문화에 대한 대정부질문에서 이낙연 국무총리가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무총리실은 동남권 관문공항 부·울·경 검증위원회가 김해신공항의 백지화를 요구하고 총리실에 최종 판단을 요청한 데 대해 "아직 받아들일 수 없다"며 선을 그었다.

총리실은 주무 부처인 국토교통부와 검증단 간 의견 조율이 우선으로, 25일 공식 입장을 발표할 예정이다.

총리실 고위 관계자는 24일 매일신문과의 통화에서 "최근 국회에서 총리께서 언급한 내용이 곧 총리실 입장"이라며 "(총리실 검증이) 부지 재검토는 아니다"며 입장을 밝혔다.

이 관계자는 "우선 검증단과 국토부가 의견 교환을 못 했다. 당초 부·울·경 검증단은 국토부와 공동 검증을 하자고 했으나 결국 자체검증을 진행해 내놓은 결과"라며 "정부도 포함되지 않은 검증단의 결과에 대해 총리실이 바로 받아들일 수는 없다. 전문성 있는 주무 부처가 있는데 부처와 제대로 얘기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바로 수용할 수는 없는 것"이라고 잘라 말했다.

부·울·경 검증단이 국토부와 공동검증이 아닌 자체적으로 내놓은 검증 결과에 신뢰성과 정책적 전문성에 의문을 표한 것이다.

또 총리실은 김해신공항 건설 사업이 지연될 경우 발생할 문제에 우려를 드러내며 국토부와 검증단 간 의견 조율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총리실 관계자는 "이로 인해 (사업이) 지연되면 김해신공항을 이용하는 주민들은 더 불편해질 수 있다. 만약 신공항을 새로 정하더라도 바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입지 선정까지는 몇 년이 걸릴지 모른다"며 "김해공항 확장 중단에 따른 문제점 등에 대해서도 충분히 얘기를 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검증단이 총리실에 가칭 '동남권 관문공항 정책 판정위원회'를 설치할 것을 건의한 데 대해서는 사전 협의는 전혀 없었다는 게 총리실의 설명이다.

이낙연 국무총리는 지난 3월 22일 국회 대정부질문에 출석해 윤재옥 자유한국당 국회의원(대구 달서을)이 "총리실의 조정 의미에 '부지 재검토'까지 포함된 것이냐"고 묻자 "부지 재검토는 포함되지 않는다. 부지는 한참 뒤의 얘기"라며 "어느 특정 부지를 전제로 하는 얘기는 결코 아니다"고 답한 바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