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병원을 찾은 50대 이상 환자들은 1인당 6.68개의 주요 질병으로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어버이날을 맞아 건강한 노년 생활 대비를 위한 보건의료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심평원에 따르면 연령별 1인당 주요 질병 개수는 70세 이상이 7.77개로 가장 많았으며, 60대 6.69개, 50대 5.49개 순이었다.
의료기관과 약국을 방문한 환자 수는 50대가 857만7천599명으로 가장 많았고, 60대 597만3천817명, 70세 이상 490만4천252명 순이었다.
지난해 70세 이상 1인당 진료비는 478만6천652원으로, 지난 2009년 264만5천597원에 비해 2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70대는 지난 10년간 진료비 연평균 증가율이 6.8%로 다른 연령층을 웃돌았다. 1인당 진료비 연평균 증가율은 60대가 4.1%, 50대가 3.9%였다.
연령별 주요 질병을 보면 50대는 고혈압과 당뇨병, 60대는 치아질환, 70대는 치매 환자가 급격히 늘어났다.
만성질환인 고혈압과 당뇨병은 70세 이상에서 가장 많았다. 하지만 40대에서 50대에 접어들 때 고혈압은 126.5%, 당뇨병은 121.4% 급격히 늘어났다.
50대에는 백내장, 퇴행성 관절염 환자도 40대와 비교해 각각 3.2배, 1.8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0대가 되면 치아 치료가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60대에는 50대보다 '치아·지지구조의 기타 장애'가 2.3배 증가했다. 65세부터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한 임플란트 시술을 보면 지난해 65∼69세 환자가 26만5천830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들 치료비는 1인당 118만6천36원으로 집계됐다.
70세 이상부터는 치매에 관심과 주의가 요구된다. 지난해 치매로 병원을 찾은 70세 이상 환자는 47만1천929명에 이르렀다. 병원 이용 현황을 보면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에 의한 70세 이상 환자의 입원은 60대보다 25배 이상 늘었다. 외래진료도 12.7배 증가했다. 이들의 1인당 진료비는 381만1천840원에 달했다.
70세 이상은 치매 이외에도 틀니 시술을 많이 받았다. 지난해 70세 이상 틀니 시술 환자는 14만2천699명으로, 1인당 소요 금액은 143만7천848원이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