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훼손·적치물 등에 몸살 앓는 대구읍성길 거리박물관

중구청 4억5천만원 들인 사업, 유지보수에만 2년 간 약 4천만원 들여
거리박물관 내부 보여주는 강화유리 훼손 잦고 주변 보도블록도 파손 빈번

과거 대구읍성의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한 대구 읍성길과 거리박물관 등 유적 관광지가 곳곳에서 훼손되거나 불법 적치물에 가려지는 등 몸살을 앓고 있다.

대구읍성은 고려 때 축조됐으나 일제 식민 지배 직전 허물어져 지금은 옛 지도에 표시된 위치와 뿔뿔이 흩어진 성돌 등으로만 역사를 가늠할 수 있다. 중구청은 이런 역사를 알리고자 2012년 이후 75억원을 들여 '대구읍성 상징거리 조성사업'을 벌였다. 이 가운데 4억5천만원을 들여 북성로·서성로 일대 통행로를 색다르게 꾸민 대구읍성길, 거리박물관을 조성했다.

거리박물관은 지난 2014년 5월 북성로 도로공사 도중 지하 1m 아래에서 발견된 대구읍성 기저부와 성돌 일부를 그대로 보존한 채 주변에 보도를 설치하고, 그 위로 미끄럼 방지 투명강화유리를 덮어 행인들이 그 속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강화유리 곳곳이 훼손돼 내부를 알아보기 어렵거나 강화유리 자체가 수시로 불법 적치물에 덮이는 탓에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일이 빈번하다.

9일 돌아본 북성로 대구읍성길은 거리박물관을 덮은 강화유리와 주변 보도 위로 차량이 달리거나 그 위에 주·정차해 강화유리를 훼손하는 일이 잦았다. 주변에 이렇다 할 안내문이나 차단 시설이 없다 보니 주변 상인들이 강화유리 위에 발판을 덮어 가리는가 하면, 오토바이·자전거, 화물 등 적치물을 둬 아래를 들여다보기도 힘들었다.

9일 중구청에 따르면 지금껏 대구읍성 상징거리의 주요 시설물 보수공사에만 약 4천만원이 들었다. 중구청은 2017년 이후 거리박물관에 1천900만원, 대구읍성길 보도블럭 교체에 2천만원을 각각 지출했다고 밝혔다.

이에 중구청이 시설물 후속 관리에 소홀하다는 지적이 높다. 주변에 안내문을 설치해 그 중요성을 알리는 한편, 차량 진입 및 적치물 방치를 막아야 한다는 것이다.

중구청은 수시로 시설물을 점검하고 있지만, 유동인구와 차량 통행이 잦은 만큼 훼손을 완전히 막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입장이다.

중구청 관계자는 "대구읍성길과 거리박물관은 시민 관심을 끌고자 의도적으로 사람이 다니는 길 표면에 그대로 설치해 파손이 불가피하다. 이를 고의로 훼손하는 시민에게는 배상비를 청구하는 등 대응도 한다"며 "주변에 불법주차 CCTV와 진입 차단시설을 설치하고, 거리박물관 강화유리에도 특수 테이프를 붙여 훼손을 막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