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신라 명필 김생 글씨 추정 비석 발견…"유일한 친필"

박홍국 교수, 김천 수도암 '도선국사비'서 22자 판독
정현숙 박사 "김생 글자 집자한 태자사비 글씨와 유사"

박홍국 위덕대박물관장이 경북 김천 청암사 부속 암자인 수도암 약광전 앞
박홍국 위덕대박물관장이 경북 김천 청암사 부속 암자인 수도암 약광전 앞 '도선국사비'에서 신라 명필 김생이 쓴 것으로 추정되는 글씨 22자를 판독했다고 16일 밝혔다. 사진 왼쪽은 수도암 비석 글씨 탁본, 오른쪽은 김생 글씨를 모아 새겼다는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탁본이다. 연합뉴스

글씨에 몰두해 입신(立神)의 경지에 올랐다고 전하는 신라 명필 김생(711∼?)이 쓴 것으로 추정되는 명문이 발견됐다.

김생 글씨는 그가 죽은 뒤인 954년에 승려 단목이 집자(集字)해 만든 보물 제1877호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에 있으나, 진적(眞蹟·실제 필적)은 현존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에서 김생 친필로 보이는 글씨가 나타나 학계 이목이 쏠릴 것으로 전망된다.

불교고고학을 전공한 박홍국 위덕대박물관장은 16일 "경북 김천 청암사 부속 암자인 수도암 약광전 앞 '도선국사비'에서 글자 22자를 판독했다"며 "글씨는 김생의 필적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재질이 화강암인 이 비석은 높이 177㎝, 너비 60∼61㎝, 두께 42∼44㎝ 크기다. 일제강점기에 새긴 것으로 짐작되는 '창주도선국사'라는 커다란 글자 때문에 잘 보이지 않지만, 본래는 세로 길이 4∼5.5㎝인 글자를 200자 정도 새겼다고 박 관장은 설명했다.

박홍국 위덕대박물관장이 경북 김천 청암사 부속 암자인 수도암 약광전 앞
박홍국 위덕대박물관장이 경북 김천 청암사 부속 암자인 수도암 약광전 앞 '도선국사비'에서 신라 명필 김생이 쓴 것으로 추정되는 글씨 22자를 판독했다고 16일 밝혔다. 비석 가운데에는 일제강점기에 새긴 것으로 짐작되는 '창주도선국사' 글씨가 있다. 연합뉴스

비문은 8행으로, 행마다 26자가 있다. 박 관장이 확인한 글자는 7행 '입차비야'(立此碑也)를 비롯해 1행 '부진'(夫眞), 2행 '불은'(佛恩)과 '성덕'(聖德), 3행 '산밀'(山密) 등이다. 박 관장은 "비석의 표면 풍화가 심하고 색상이 밝아 명문을 판독하기 어렵다"며 "'창주도선국사'라는 글씨 때문에 옛 글자 50여 자가 사라졌다"고 말했다.

김생은 삼국사기에 "어려서부터 글씨를 잘 썼는데, 나이 팔십이 넘도록 붓을 놓지 않았다"는 기록이 있고, 고려시대 문인 이규보는 '동국이상국집'에서 그의 글씨를 '신품제일'(神品第一)이라고 평가했다. 김생 글씨는 대부분 불교나 사찰과 관련됐다고 전하는데, 수도암비도 불교 유물이다.

박 관장은 김생이 8세기 중·후반에 주로 활동한 인물인데, 수도암 대적광전이 이 시기에 처음 세워졌을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그는 수도암비 금석문 연구 결과를 오는 18일 오후 2시 동국대 정보문화관에서 열리는 신라사학회 학술발표회에서 공개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