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나는 의원입니다] 박광호 경주시의원, 경주시 시민안전보험 도입 주역

박광호 경주시의원이 시민안전보험 제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도훈 기자
박광호 경주시의원이 시민안전보험 제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도훈 기자

"2016년 경주 지진 후 3년가량이 지났는데도 경주시민 상당수는 여전히 불안감을 갖고 있습니다. 원전도 있는 데다 교통사고도 잦은 편이죠. 안전에 대한 불안감이 어느 지역보다 큰 만큼 이를 조금이나마 줄여보고자 했습니다."

지난 2월 경주시의회는 제239회 임시회에서 '경주시 시민안전보험 운영 조례안'를 통과시켰고 경주시는 올 하반기 시행을 목표로 보험 가입 준비에 한창이다.

이 조례안을 발의한 주인공은 자유한국당 박광호(46) 시의원. 그는 지난해 6·13 지방선거를 통해 8대 경주시의회에 입성한 초선 의원이다.

올해 들어 전국 각 지자체가 앞다퉈 시민안전보험에 가입하고 있다. 시민안전보험은 자치단체가 직접 보험사와 계약해 보험료를 납부하고, 보험사가 각종 자연재해나 재난·사고·범죄 피해를 본 시민에게 보험금을 지급하는 제도다. 최대 1천만원까지 보상한다.

충주시는 지난 4월 농기계 사고로 숨진 이의 유족에게 시민안전보험을 안내해 보험금 1천만원을 수령하도록 했다. 충주시가 올해 3월 전 시민을 대상으로 가입한 시민안전보험금 첫 지급사례였다. 인천시도 올해 302만여 시민을 위해 4억2천여만원을 들여 1년짜리 시민안전보험에 가입했다.

박 시의원은 이런 추세에 발맞춰 경주시의 시민안전보험 가입을 이끈 것이다.

그는 만 서른살이던 2003년 3월까지 8년간 경주시청에서 공무원 생활을 했다. 그 기간 건설부장관상과 경북지사상 등 5차례 상을 받을 정도로 열정을 쏟았다.

"기능직으로 공직에 입문하다 보니 진급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고, 더 이상 공무원을 하고 싶은 마음이 생기지 않아 퇴직을 결심하게 됐죠."

그로부터 15년이 흐른 뒤 그는 민원 업무를 주로 했던 공무원 경험을 살려 시의원에 도전해 당선됐다. 지금은 시의원 신분으로 경주시청을 오가고 있다.

그는 인구 감소로 '소멸도시'로 꼽히는 경주를 살리기 위한 인주 증가 정책에 관심이 많다. 최근엔 마을 경로당을 제대로 관리할 근무자를 공공일자리 사업으로 대체하기 위한 조례를 검토하고 있다.

"과거엔 행정이 단순히 경로당 같은 시설을 지어 주는 것에 치중했다면, 이젠 그것을 잘 운영하기 위해 행정력을 집중해야 한다고 봅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