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야고부] 넘친, 한 수녀의 포대

정인열 논설위원
정인열 논설위원

'홀씨 되어….'

안동에 아시아 본부를 둔 '그리스도의 교육 수녀회' 해외 선교지 소식지의 올해 봄호 제목이다. 16쪽짜리 작고 가벼운 겉모양과 달리, 속은 크고 높은 뜻의 묵직한 내용이 여럿이다. 한국 본원(本院) 안동에서 아프리카 코트디부아르와 아시아 캄보디아의 두 분원(分院)에 파견된 수녀 등의 봉사 활동이 실려 있다.

또 수녀회 도움으로 다친 다리를 자르지 않고 치료받은 뒤 고통에 신음하는 고국 코트디부아르 사람들을 위해 일하겠다는 꿈을 안고 인근 부르키나파소의 간호대학에 유학 중인 한 젊은이의 각오와 감사의 글도 있다. 일흔 넘었지만 코트디부아르 현지 봉사를 마다치 않은 이춘자 아녜스 수녀의 절절한 체험담도 물론이다.

특히 작은 상처 하나를 제때 고치지 못해 그냥 두는 바람에 결국 팔과 다리를 잘라야만 하는 젊은이들의 비참함을 본대로 차마 소식지에 못다 쓴, 이 수녀의 기도와 서원(誓願)은 간절했다. 굳이 사지를 절단 않고도 잘 치료를 받게 하여 새 삶을 살도록 희망을 주는 일, 치료비 600만원 모금이었다.

올 2월 귀국한 뒤 이 수녀는 지난 세월 맺은 뭇 인연을 통해 이런 사연을 알리는 데 마음을 쏟았고 사람들, 특히 대구경북인은 이 수녀의 이야기를 외면하지 않았다. 일찍이 불교라는 외래 종교가 들어오고부터 이곳 백성들이 불사(佛事)에 나선 스님과 비구니의 염원을 모른 척 않고 나섰던 것처럼.

옛 스님이 지팡이에 빈 포대를 내걸자 정성을 모아 채웠고, 절 꾸미는 돈이 없어 애태우는 비구니에게 신령스러운 지신(地神)이 금붙이를 내놓았고, 서침은 달성 터를 나라에 바치고 대신 대구 백성의 세금을 덜어 주었고, 경주 최부자는 사방 100리 안에 굶는 이웃이 없게 하는 일을 대대로 옮겼던 터가 대구경북이지 않았던가.

이 수녀의 마음이 전파되고 정성이 쌓여 올해 젊은이 10명을 구할 모금 서원은 마침내 이뤄지고 젊은이 2명을 더 구하게 됐다는 소식이다. 가뜩이나 힘든 요즘, 이 수녀 포대가 이곳 사람들의 배려로 꽉 차 넘치게 됐으니 '홀씨 되어…'라는 소식지 제목이 더욱 와 닿는다. 이 수녀와 이곳 사람들의 마음씨는 과연 홀씨가 될 만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