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20일 정상회담에 돌입했다. 양국 정상은 이날 만남에서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를 위해 서로 협력하기로 했다.
김 위원장은 "중국과 소통·협력해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했고, 시 주석은 "한반도 비핵화 실현에 적극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화답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은 이날 평양 순안공항에 도착해 김 위원장의 영접을 받은 뒤 오후에 곧바로 정상회담에 들어갔다. 1박 2일 일정의 정상회담 첫 날 양 정상은 한반도 정세를 두고 폭넓은 대화를 나눴다.
중국중앙(CC)TV 보도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시 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과거 1년간 조선(북한)은 정세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많은 적극적인 조치를 했지만 유관국의 적극적 호응을 얻지 못했는데 이는 보고 싶은 것이 아니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조선은 중국이 한반도 문제 해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온 것을 높게 평가한다"며 "계속 중국과 소통하고 협력해서 한반도 문제를 정치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에서 새 진전을 거두고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시 주석은 "중국은 계속해서 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을 지지한다"며 "중국은 조선이 자신의 합리적 안보 및 발전에 관한 관심사를 해결할 수 있도록 힘이 닿는 한 도움을 주겠다" 말했다.
북중은 이번 회담을 통해 경제협력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시 주석의 이번 북한 방문에 중국의 외교과 경제 분야의 사령탑이 대동했다. 시 주석은 이날 회담에서 북한의 경제 발전을 지원할 것임을 밝히기도 했다.
이와 관련해 중국의 거시경제 정책을 총괄하는 허리펑(何立峰)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주임이 주목받고 있다. 이번 방문에 허 주임이 수행한 것은 북한과 중국의 경제협력이 어떻게 이뤄질지 논의할 것이라는 관측을 낳게 한다.
21일 회담이 끝나봐야 되겠지만 우선은 이번 북중정상회담이 3차 북미정상회담의 단초가 될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이 최근 트럼프 대통령에게 친서를 보내는 등 북미 비핵화 협상의 재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데다 시 주석 역시 방북에 앞서 트럼프 대통령과 6개월 만에 전화통화에 나서는 등 북중미가 정상 외교에 적극적인 점도 이 같은 예상을 뒷받침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