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수돗물은 '녹물' 사태에서 안전할까?

인천 수돗물 사태 계기 먹는물 안전 관심 재차 확대, 인천 사태는 '급격한 수돗물 공급방향 변경' 탓
대구는 지난 운문댐 가뭄 때 이미 대규모 수계전환 거치고도 이상 無… "노후 수도관 교체 앞당겨 문제 불식할 것"

최근 인천에서 '붉은 수돗물' 사태가 터지면서 대구 시민들 사이에서도 수돗물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수차례에 걸친 '수돗물 위기'를 겪은 탓에 먹는 물 불안이 유독 심각한 탓이다.

최근 환경부 발표에 따르면 인천 수돗물 사태는 급격한 수돗물 공급방향 변경에 따른 것으로, 예비 상수관을 쓰는 과정에서 탁한 물 배출 예측과 부유물질 사전 제거 작업도 제대로 거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됐다. 노후화된 배관을 교체하지 않아 사고 발생 위험이 상존해 있는 상태에서 무리하게 수계 조정을 하면서 빚은 인재다.

대구 상수도의 경우 30년 이상 노후화된 배관이 전체의 9.6%로 나타나 다른 시·도에 비해 낮은 수준이지만, 항상 비슷한 사고가 발생할 불씨를 갖고 있어 안심할 단계는 아닌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대구 노후 수도관, 녹물 발생 가능성은?

이번 인천 녹물 사태는 설치 30년 안팎으로 내구연한이 지난 '경년관'이 주범 중 하나로 지목됐다. 인천의 경우 30년 이상된 노후 배관의 비중이 14.5%로 전국 평균 수준이다.

이에 비해 대구는 그나마 상황이 나은 편이다. 현재 남은 대구의 노후 수도관 길이는 770km로, 전체 길이 8천13km의 9.6% 수준이다. 반면 광주와 강원, 경북, 경남은 경년관 비율이 20%가 넘어 노후관 교체가 시급한 상황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대구도 안심할 수 있는 형편은 아니다. 1980년대까지 설치해 부식에 취약한 회주철관, 아연도강관 등 철제 수도관이 전체 수도관의 1%가량인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이다.

인천의 녹물 문제가 불거지면서 대구에서도 노후 수도관 교체 필요성이 대두하고 있다. 대구시상수도사업본부는 "2016부터 오는 2030년까지 4천400억원을 들여 노후관 개량사업을 벌이고 있다"며 "이번 인천 수돗물 사태를 계기로 올해 이후 본부 예산 중 개량사업 비중을 연 500억원 규모로 확대해 개량 종료 시기를 2027년까지 앞당길 방침"이라고 밝혔다.

환경부 기준에 따르면 노후 수도관은 강도가 약해지거나 관 내부에 녹이 발생해 녹물이 많이 나오는 등 수도관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일반적으로 지방공기업법에 따라 수도관 내구연한을 30년으로 보지만, 최근에는 스테인리스관이나 덕타일주철관 등 부식에 강한 자재로 교체하면서 외부요인이 없을 때에는 내구연한을 반영구적이라 보기도 한다.

대구시상수도사업본부 관계자는 "본부는 수시로 수도관 세척 등 작업을 벌여 녹물 및 이물질 제거에 힘쓰고 있다. 노후관 개량을 일찍 마쳐 시민 먹는 물 안전을 조기에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상시적 수계전환 경험 풍부

환경부 발표에 따르면 인천시는 풍납취수장 시설 공사를 이유로 해당 취수장을 10시간가량 쓰지 못하게 되자 팔당취수장 물로 수계전환(특정 지역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취수원 또는 정수장을 다른 곳으로 바꾸는 것)을 실시했다. 이 과정에서 평소 쓰지 않던 예비 상수관 2곳을 열었는데, 물길이 해당 수도관 속 기존 수도 흐름과 반대 방향이고, 수압도 2배가량 급격히 높아지다 보니 관 내부에 붙어 있던 녹 등 이물질이 대량으로 떨어져나와 가정까지 흘러갔다는 분석이다.

수돗물 수질 확인 결과 알루미늄, 망간, 철 등 일반적인 수도관 재질 성분이 확인됐고 먹는 물 수질 기준을 넘지는 않았다. 그러나 환경부는 "먹는 물로 마시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며 사태가 복구되기까지 수돗물을 생활용수로만 사용하기를 권했다.

이에 인천시는 오는 29일까지 정수장·송수관 청소 등을 통해 수돗물을 원래대로 되돌려놓는다는 방침이다.

시민들과 수도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를 '인재'(人災)라고 지적했다. 대구시상수도사업본부에 따르면 인천시가 실시한 수계조정 작업은 국지적 상수도시설 공사 때나 특정 취수원에 가뭄이 올 때 수시로 행하는 비교적 일상적인 작업이라는 것. 2016년부터 최근까지 대구에서 벌인 크고 작은 수계조정 횟수만 28차례에 이를 정도다.

대구시상수도사업본부는 "대구는 2017~2018년 운문댐 고갈 사태를 겪으며 대규모 수계전환 작업을 문제없이 처리한 이력이 있는 등 경험이 풍부하다"며 "감시감독과 체계적 관리를 통해 깨끗한 수돗물 공급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