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부, 경북 안동 '로컬푸드' 공급모델 우선 구축…지역농산물 확산 추진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농식품부, 지역 소비 로컬푸드 비중 4%에서 15%까지 확대

농식품부 제공.
농식품부 제공.

정부가 지역에서 생산하고 소비하는 '로컬푸드'의 유통 비중을 앞으로 3년간 15%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경북 지역 학교 급식과 사회복지시설에 지역 농산물 사용을 확대하는 등 로컬푸드 공급 모델을 우선 구축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6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로컬푸드 확산을 위한 3개년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농식품부는 이날 브리핑을 통해 "로컬푸드 대국민 인지도를 높이고, 유통 비중을 지난해 4.2%에서 2022년 15%까지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공공기관과 군 급식에서 로컬푸드 공급 비중을 2022년까지 70%로 대폭 높이고, 로컬푸드 소비체계 구축에 참여하는 지방자치단체를 100개까지 늘린다.

특히 단체급식에 지역 농산물 공급을 확대하고자 지역 공동 물류시설을 운영하고, 지방 도매시장을 종합 물류시설로 재편해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학교 급식과 사회복지시설 등 취약계층 지원 사업에서도 로컬푸드를 활용하고 광역단체는 경북도, 기초단체는 안동시부터 먼저 로컬푸드 공급 모델을 매뉴얼화해 적용한다.

농식품부는 시민단체 주도로 로컬푸드를 활용한 사업모델을 만들 수 있도록 교육·활동비도 지원한다.

농식품부는 로컬푸드 생산·공급의 중심축으로 중소농도 육성할 계획이다.

또 지역 농산물을 활용한 농가 단위 소규모 가공을 촉진하고자 '농산물 종합가공센터' 운영을 활성화할 방침이다.

지역에서 경쟁력 있는 가공식품을 개발하도록 '지역 농산물 취급 사업자' 제도를 운용하고, 인센티브도 지급한다.

로컬푸드 가공식품은 정부·공공기관 행사 시 다과·기념품으로 우선 활용하기로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