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내에 풀린 일본은행 자금 21조…금융시장에도 검은 그림자

일본계 자금 국내주식 12조원 보유하기도…"금융시장 日보복 잠재 영향권"

7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과 국제금융센터 등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미쓰비시파이낸셜그룹(MUFG)과 미쓰이스미토모(SMBC), 미즈호(MIZUHO), 야마구찌(Yamaguchi) 등 4개 일본계 은행의 국내 총여신은 18조2천995억원이다. 이는 지난해 9월말 기준 21조817억원에서 2조7천822억원 줄어든 수치다. 연합뉴스
7일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과 국제금융센터 등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미쓰비시파이낸셜그룹(MUFG)과 미쓰이스미토모(SMBC), 미즈호(MIZUHO), 야마구찌(Yamaguchi) 등 4개 일본계 은행의 국내 총여신은 18조2천995억원이다. 이는 지난해 9월말 기준 21조817억원에서 2조7천822억원 줄어든 수치다. 연합뉴스

국내에 풀린 일본계 은행 자금이 20조원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계 자금의 상장주식 보유 물량도 12조원을 넘는다. 일본의 보복 기조가 이어질 경우 어떤 형태로든 국내 금융시장에도 영향이 있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7일 국제금융센터 등에 따르면 지난해 9월말 기준 미쓰비시파이낸셜그룹(MUFG)과 미쓰이스미토모(SMBC), 미즈호(MIZUHO), 야마구치(Yamaguchi) 등 일본계 은행의 국내 총여신은 21조원으로 파악됐다. 이는 외국계 은행 국내 지점의 총여신 규모인 77조9천억원의 27.1%에 달한다. 중국계 은행(34.3%)에 이어 두번째로 큰 규모다.

최근 일본의 반도체 수출 규제와 관련해 일본계 은행들이 즉각 행동에 나서는 상황은 아니나 한국에서 회전시키는 일본계 자금 규모나 속도를 줄일 소지가 다분하다고 전문가들은 우려하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일본계 은행이 당장 움직이지 않겠지만 일본의 수출 규제는 한국의 금융시장에도 서서히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업계는 주식시장에 들어온 일본계 자금의 방향성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금감원은 5월 말 현재 일본계 자금이 보유한 상장주식 가치를 12조4천710억원으로 집계하고 있다. 이는 전체 외국계 자금의 2.3%로 미국과 영국 등에 이어 9위다. 주식시장에 들어온 자금은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은 데다가 일사불란하게 움직일 가능성도 작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는 시각은 드물다.

정부는 국무조정실을 중심으로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가 여타 분야로 확산할 가능성을 점검하고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은행권 등이 발생 가능한 시나리오를 점검하고 있다. 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일본의 수출 규제 조치가 금융 분야로 확산한다하더라도 일본계 자금이 100% 모두 끊길 것 같지는 않다"며 "그런 상황이 발생한다면 자금을 차환하는 과정에서 다소 어려움이 있을 수 있겠지만 나라가 흔들릴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