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최저임금 2.9% 인상 놓고 극명하게 엇갈린 노동계·경영계 반응

경영계 "경제상황이나 현장 사정 고려하면 동결했어야…"
노동계 "노동자에게만 경제위기 책임 물은 것, 전면 투쟁할 것"

2020년 적용 최저임금이 8천590원으로 결정된 12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최저임금위원회 전원회의실에서 박준식 최저임금위원장이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2020년 적용 최저임금이 8천590원으로 결정된 12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최저임금위원회 전원회의실에서 박준식 최저임금위원장이 브리핑하고 있다. 연합뉴스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폭을 두고 노동계와 소상공인 및 경영계 입장은 극명하게 엇갈렸다. 경영계는 적어도 동결됐어야 한다는 반응을 보였고 민주노총 등 노동계는 경제위기의 책임을 노동자에게만 지웠다며 '전면 투쟁'을 예고했다.

지역경제계는 최저임금 삭감이나 동결이 아닌 점은 아쉽지만 최근 2년간 이어진 가파른 상승세가 꺾인 것에 안도하는 모습이다.

지역 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올해 GDP성장률이 2% 중반대로 예상되고 물가도 사실상의 디플레이션이라고 얘기하는 상황에서 2.9%면 적지 않은 인상폭"이라면서도 "최근 정부 관계자들이 임금인상 속도조절론을 언급하는가 하면 민노총과 삐걱거리는 모습을 보이기도 해 올해는 전년보다 인상 폭이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고 말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입장문을 통해 "최저임금은 동결 이하에서 결정되는 것이 순리였다"며 "경영계로서는 부담이 가중된 수준이지만 어려운 국내 경제의 경제 여건에서 파국을 피하기 위해 경제 주체 모두 힘을 모으는 차원에서 감당하겠다"고 밝혔다.

중소기업중앙회도 "중소 영세기업과 소상공인들이 절실히 기대한 동결을 이루지 못한 것은 아쉽고 안타까운 결과"라고 평가했다.

노동계는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김정옥 한국노총 대구본부 총괄본부장은 "2020년까지 최저임금을 1만원으로 올리겠다던 정부 공약이 사실상 수포로 돌아갔다"며 "현재의 불경기는 이번 정부 들어 근로자 임금을 대폭 올린 탓에 닥친 것이 아님에도 모든 책임을 노동자에게만 물은 셈"이라고 했다.

최저임금의 직접적 영향을 받는 아르바이트생과 생산직 근로자도 아쉬움을 나타냈다.

대구 수성구 한 카페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김모(23) 씨는 "동네 술집이나 편의점 등 영세 사업장의 주 소비층 또한 최저임금을 받는 노동자가 많을텐데 최저임금 인상폭을 급격히 줄이면 소비는 줄어들고 경제도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 한 자동차부품업체에서 근무하는 이원희(42) 씨도 "당장 올해 아이들 학원부터 보내야 하는데 부담이 된다. 미혼인 동료들은 적은 월급에 미래를 포기하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했다.

민주노총은 12일 논평을 내고 "민주노총은 최소한의 기대조차 짓밟힌 분노한 저임금 노동자와 함께 노동개악 분쇄를 위해 총파업을 포함한 전면적인 투쟁을 조직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