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포스코 영업이익 8분기 연속 1조원 돌파

안전·환경에 대한 질문도 나와

포스코가 8분기 연속 연결기준 영업이익 1조원을 돌파했다.

포스코는 23일 콘퍼런스콜로 진행된 기업설명회에서 2분기 연결기준 매출 16조3천213억원, 영업이익 1조686억원, 순이익 6천814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2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액은 1.5%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14.7% 감소했다. 순이익은 17.4% 늘었다. 포스코 측은 "포스코인터내셔널의 미얀마 가스전 판매 증가, 트레이딩 호조 등 글로벌 인프라 부문 실적 개선으로 8분기 연속 1조원 이상 영업이익을 달성하며 6.5%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다만 철강부분의 영업이익은 줄었다"고 밝혔다.

포스코의 별도기준 매출액은 7조4천759억원, 영업이익은 7천243억원을 기록했다. 순이익은 5천454억원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매출액은 3.0%, 영업이익은 11.9%, 순이익은 6.0% 감소했다.

환율 상승으로 판매가격은 올랐지만 제품 생산라인 수리로 인한 판매량 감소, 원료가 상승 등이 영업이익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고부가가치 제품인 '월드 톱 프리미엄' 판매 비중을 1분기 수준으로 유지하며 영업이익 감소 폭을 줄였다. 재무건전성은 개선돼 연결기준 부채비율이 2010년 이후 최저치인 65%를 기록했다.

포스코는 하반기 철강시황에 대해 중국 경기부양책 효과, 추가 지원정책 발표로 중국 내 철강 수요가 다소 개선되겠지만 세계 철강 수요 증가세는 둔화할 것으로 전망했다. 포스코는 연간 제품판매량 목표를 3천570만t에서 3천620만t으로 조정하고 연결과 별도기준 매출액도 각각 66조8천억원과 31조1천원으로 소폭 상향 조정했다.

한편 설명회에서는 최근 포항제철소 인명사고(올해 3명)와 고로(용광로) 안전밸브인 블리더 논란에 대한 질문이 나왔다. 포스코 관계자는 "환경 이슈는 규제가 너무 엄격한 경향도 있다"며 "환경 투자에 상당한 비용을 반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안전과 관련해선 "막대한 예산과 노력을 기울이는데도 사고가 계속돼 안타깝다"며 "23일 안전혁신 비상대책 태스크포스(TF)가 출범했다"고 설명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