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병·의원 등 요양기관에 한 번도 가지 않은 사람이 238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 가입자는 작년에 세대당 낸 보험료보다 평균 1.88배의 보험 혜택을 본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018년 1년간 건강보험 가입자의 보험료 부담과 의료이용을 빅데이터로 분석한 '2018년 보험료 부담 대비 급여비 현황' 결과를 31일 발표했다.
분석대상 3천847만명 중 2018년 1년 동안 요양기관을 한 번도 이용하지 않은 사람은 237만5천명으로 전체의 6.2%를 차지했다. 의료 미이용자의 비율은 2014년 7.1%, 2015년 7.1%, 2016년 6.8%, 2017년 6.5% 등으로 해마다 줄고 있다.
2018년 세대당 월평균 11만1천256원을 보험료로 부담하고 20만8천886원의 보험급여를 받아 보험료 부담 대비 1.88배의 급여 혜택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료 하위 20% 세대(1분위)는 월평균 2만9천667원을 보험료로 내고, 16만2천308원을 보험급여로 받았다. 보험료 부담 대비 건강보험 혜택이 5.5배다.
보험료 상위 20% 세대(5분위)는 월평균 26만1천497원을 부담하고, 30만8천317원의 보험급여를 받아서 급여 혜택이 1.2배였다.
질환별로 보험료 대비 급여비 혜택 비율을 보면, 심장질환자가 있는 세대는 8.4배, 뇌혈관질환 6.3배, 암 질환 4.2배, 희귀질환 4.2배, 52개 경증질환 0.4배 보험 혜택을 받은 것으로 나왔다.
시도별로 보면, 지역가입자 세대의 월평균 보험료는 서울이 11만4천583원으로 가장 많았고, 전남은 6만1천807원으로 가장 적었다.
보험료 대비 급여비는 노인 인구가 많고 가계 소득이 낮은 농어촌 지역이 높았고, 대도시 지역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직장 가입자는 울산이 14만1천805원으로 보험료를 가장 많이 냈고, 다음은 서울 13만2천894원이었으며, 강원은 10만4천195원으로 가장 적은 보험료를 부담했다.
월급여비는 지역가입자 세대의 경우 전남이 25만4천258원으로 가장 많았고(보험료 부담 대비 급여 혜택 4.1배), 다음은 전북 22만6천66원이었다. 서울은 17만7천963원으로 가장 적었다.
직장 가입자 월급여비는 울산이 25만8천341원으로 가장 많았고, 전남이 25만727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강원은 19만8천604원으로 가장 적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