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북한 도발에 대통령은 침묵하고 청와대는 감싸는 기막힌 현실

북한의 연이은 미사일 도발에 대한 문재인 대통령과 청와대의 대응이 갈수록 태산이다. 대응이란 표현 자체가 가당치 않은 무대응이고 북한 편들기이다. 지난달 25일 이후 지금까지 북한은 5차례나 도발했지만 문 대통령은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북한이 사실상 문 대통령을 겨냥해 "겁먹은 개" "밤잠까지 설치대며 허우적거리는 꼴"이라며 막말을 퍼부은 데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인품이 후덕(厚德)해서 그런가, 필부(匹夫)의 배알도 없어서 그런가.

이런 가운데 청와대는 북한의 도발과 경멸적 담화에 대한 '해설'을 내놓았다. 핵심 관계자는 "한미연합훈련이 끝나면 북미 실무협상을 하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것"이라고 했다. 또 "북한 담화문은 통상 우리 정부가 내는 담화문과 결이 다르고 언어가 다르다"고도 했다. 문 대통령이 침묵하는 데 대해서는 "대통령이 나서서 맞대응할 경우 지금보다 상황이 더 악화될 것"이라고 했다.

이런 '해설'은 문 대통령의 침묵의 의미가 무엇인지 가늠케 한다. 북한의 도발과 경멸적 대남 언사는 북한의 입장에서 보아 합리적이고, 단어나 문장의 통상적 의미에 집착할 게 아니라 그 이면에 있는 의도나 메시지에 주목해야 한다는 것 아니겠나. '북한 대변인'이란 조롱을 받은 터에 문 대통령이 직접 이렇게 북한의 입장에 충실한 '해설'을 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결국 문 대통령의 '침묵'은 단순한 침묵이 아니라 무언(無言)의 지침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북한이 5차례 쏘아 올린 미사일은 우리의 방어체계로는 요격이 불가능해 언제라도 남한 전역을 타격할 수 있다. 북한판 이스칸데르 미사일은 핵탄두도 장착할 수 있다. 그런데도 청와대는 북한의 도발이 남한에 대한 위협이 아니라 북미 대화를 원한다는 '신호'로 치부한다. 문 대통령에 국한하지 않고 남한 국민 모두에 대한 모욕이기도 한 막말에 대해서는 다른 뜻이 있다고 우긴다. 이는 이 정부가 과연 누구를 위한 정부인가, 과연 국민들이 생명과 재산 보호를 맡겨도 되느냐는 근원적인 물음을 던진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