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정부를 향해 전쟁 범죄 인정, 위안부 동원 사죄, 법적 배상을 촉구해 온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가 14일 1천400회를 맞았다.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이하 정의기억연대)는 이날 정오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제1천400차 정기 수요시위와 '제7차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 기념 세계 연대 집회를 열었다.
이날 중·고생들과 시민 등 2만 명(주최 측 추산)은 평화로 거리를 가득 메운 채 '노란 나비' 물결을 이뤘다.
수요시위가 시작되기 한참 전부터 자리를 지킨 위안부 피해자 길원옥(91) 할머니는 "이렇게 더운데 많이 오셔서 감사합니다. 끝까지 싸워서 이기는 게 승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할머니의 말에 학생, 시민들은 '할머니, 사랑합니다'라고 외치며 힘찬 박수를 보냈다. 정의당 심상정 대표, 더불어민주당 남인순·박주민 최고위원 등 정치권 인사도 자리를 함께했다.
이날은 1991년 8월 14일 고(故) 김학순 할머니가 위안부 문제를 부정하는 일본 정부에 맞서 자신의 피해 사실을 용기 있게 증언한 사실을 기억하자는 의미의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이기도 하다.
1992년 1월 8일 시작해 이날로 1천400회를 맞은 수요시위는 국내 13개 도시를 비롯해 일본, 미국, 대만, 호주 등 세계 12개국 37개 도시 57곳에서 함께 진행돼 의미가 더욱 컸다.
지난해 대법원의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한 배상 판결을 계기로 일본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이 잇단 경제 보복 조처를 내놓는 속에서도 도쿄, 나고야, 교토 등 현지 시민사회도 공동행동에 나섰다고 정의기억연대 측은 설명했다.
윤미향 정의기억연대 이사장은 "이곳 평화로에서는 서로 존중하고 함께 더불어 평화로운 세상을 만들어 가자고 해왔다"며 "김복동·김학순 등 여러 할머니의 외침이 있었기에 (우리는) 소중한 평화, 인권의 가치를 배웠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과거사를 반성하지 않은 채 '경제 보복' 조처까지 내놓는 아베 정권을 규탄하는 시민사회단체의 항의 행동·집회는 이날도 이어졌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