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멀리 왔나 허공에 놓인 사다리/ 내 다시 길을 잃고 마른 땀에 젖는 것은/ 함부로 나무의 말을 흘려들은 까닭이다// 해와 달과 비와 바람 품고 때로 받들어서/ 그 어떤 서책에도 싣지 않은 초록 행간/ 철따라 밑줄을 긋고 소리 낮춰 읽었던// 나무인들 웃자라는 생각 하나 없었으랴/ 칼바람 천둥을 재운 나무 아래 살면서도/ 선채로 천리를 읽는 묵언설법, 놓친 죄다.'-민병도 시조 '나무의 말'
민병도 시조시인이 22권째 시조집 '부록의 시간'을 펴냈다. 경북 청도의 창작 공간 '목언예원'에서 집필한 근년의 시조 82편이 실려 있는 시조집에는 '그리움의 하얀 헛간' '칼 든 자 칼을 거두고' '천년에 천년이 가도' '일부러 물길을 놓쳐' '어둠이 깊을수록' 등 5개 장으로 나눠 시인의 예리한 감성과 직관력을 바탕으로 한 시조미학이 책갈피마다 숨쉬고 있다.
시인은 "시조를 써온 지 47년의 세월이 흘렀지만 아직도 시조라는 이름 앞에 서면 내 스스로 한없이 작아지는 것 같다. 천년에 이르도록 시조를 갈고 닦아온 선현들은 그렇다 치더라도 '시조는 내 목숨의 기도'라고 규정한 이영도 선생의 시조 사랑이 언제나 가슴 한편에 서늘하게 남아있기 때문이다"고 했다.
청도 출생인 시인은 지난 1976년 한국일보 신춘문예 당선으로 등단한 이후 왕성한 창작활동을 했다. '갈 수 없는 고독' '슬픔의 상류' '칼의 노래' 등 다수의 시조·시조집과 '청동물고기' '한 때, 꽃' 등 번역시집, '매화 홀로 지다' 등 시화집, '형식의 해방공간, 그 실험의지' 등 평론집, '고독에의 초대' 등 수필집이 있다. 이런 활동은 중앙시조대상, 가람시조문학상, 김상옥시조문학상, 한국문학상 등 수상으로 이어졌다.
한국미술협회 부이사장과 대구미술협회 회장을 지낸 화가이기도 한 시인은 현재 (사)국제시조협회 이사장, 계간 '시조21' 발행인, 이호우·이영도시조문학상 운영위원장, 도서출판 목언예원 대표, 민병도갤러리 대표 등 활동을 하고 있다. 107쪽 8천원.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