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소비심리 2년7개월만에 최저…日규제·美中분쟁에 비관론 확산

가계 생활형편전망 2009년 후 최저…주택가격전망만 나홀로 상승

일본 수출 규제와 미중 무역분쟁이 한국 경제에 그늘을 드리울 것이라는 전망에 소비자심리지수가 2년 7개월 만에 최저로 떨어졌다. 소비심리 악화에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기 시작하면 민간소비도 타격을 입게 된다.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9년 8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이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2.5로 한 달 전보다 3.4포인트 떨어졌다. CCSI는 소비자의 체감 경기를 보여주는 지표로, 지수가 100보다 작으면 소비자들의 심리가 장기 평균(2003∼2018년)보다 비관적이란 뜻이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올해 4월 101.6까지 올랐다가 4개월 연속 하락하며 2017년 1월(92.4) 이후 최저로 낮아졌다. 한은은 소비자심리지수 하락 배경으로 "일본 수출규제, 미중 무역분쟁, 수출 부진에 주가 하락과 환율 상승이 종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고 봤다.

소비자심리지수를 구성하는 6개 항목 모두가 하락했다. 가계 재정상황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생활형편전망 소비자동향지수(CSI)는 3포인트 떨어진 89였다. 이는 금융위기 여파가 남아있던 2009년 3월(80) 이후 가장 낮다. 가계수입전망 CSI도 2포인트 하락한 94로 2009년 4월(92) 이후 최저였다. 현재생활형편 CSI는 1포인트 하락한 90, 소비지출전망 CSI는 2포인트 내린 105였다.

소비자들이 경제 상황을 어떻게 보는지를 담은 현재경기판단 CSI는 4포인트 빠진 63이었다. 향후 경기전망 CSI도 4포인트 하락한 66으로 2016년 12월(65) 이후 최저였다. 한은 관계자는 "앞으로의 생활 형편과 가계 수입에 대한 개인들의 심리가 상당히 좋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반대로 집값이 더 오른다는 기대는 커졌다. 주택가격전망 CSI는 1포인트 오른 107로, 9·13 부동산 대책이 나온 직후인 지난해 10월(114) 이후 가장 높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