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행정 수반인 캐리 람(林鄭月娥) 행정장관이 4일 시위대의 요구인 '범죄인 인도 법안'(송환법) 공식 철회를 전격적으로 발표했지만, 시위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밝혔다. 범민주 진영은 시위를 계속하겠다고 천명해 오는 주말 시위에 시민이 얼마나 호응할지가 향후 정국을 가늠할 척도가 될 전망이다.
5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명보, 빈과일보 등에 따르면 전날 밤 캐리 람 장관이 송환법 공식 철회를 발표한 후 시위대 대표를 자처하는 사람들이 기자회견을 열어 홍콩 정부가 시위대의 5대 요구사항을 모두 수용할 것을 촉구하면서 이를 받아들일 때까지 시위를 계속하겠다고 밝혔다.
홍콩 시위대의 5대 요구 사항은 ▷송환법 공식 철회 ▷경찰의 강경 진압에 관한 독립적 조사 ▷시위대 '폭도' 규정 철회 ▷체포된 시위대의 조건 없는 석방 및 불기소 ▷행정장관 직선제 실시 등이다.
대규모 시위를 주도해온 민간인권전선 지미 샴(岑子杰) 대표는 "송환법 반대 시위 과정에서 7명이 목숨을 버리고, 1천여 명의 시민이 체포되고, 71명이 폭동죄로 기소된 상황에서 이번 발표는 너무 늦게 이뤄졌다"고 질타했다. 이어 "진심으로 시민의 분노를 진정시키길 원한다면 경찰의 강경 진압을 조사할 독립 위원회를 구성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시위대가 캐리 람 장관의 송환법 공식 철회를 거부하면서 이제 관건은 오는 주말 시위에 대한 홍콩 시민들의 호응이 어떠할지에 달린 것으로 보인다. 홍콩 시위대는 7일 홍콩 쇼핑몰 등을 돌아다니면서 소비 자제(罷買) 운동을 펼치는 한편, 지난 주말처럼 홍콩국제공항 주변의 교통을 방해하는 시위를 전개할 계획이다.
이들 시위에 홍콩 시민이 적극적으로 호응할 경우 '송환법 공식 철회'라는 캐리 람 장관의 승부수는 실패로 끝났다는 진단이 가능하다. 반대로 호응을 얻지 못할 경우 향후 시위가 소강상태로 접어들 가능성이 있다.
범민주 진영과 달리 친중파 진영과 재계는 송환법 공식 철회를 환영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특히 미국이 홍콩 시위와 관련해 중국 중앙정부와 대립각을 세워온 가운데 주홍콩 미국 상공회의소가 환영의 뜻을 나타내 주목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