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가는 결과물을 대중에서 선보이기 위해서 아주 오랜 기간을 투자한다. 공연을 예로 들자면 어떤 공연을 할지 구상하고, 작품을 쓰고, 사람들을 모으고, 연습하는 시간을 보낸 후에야 공연장에서 관객들을 만나게 된다. 대부분 몇 달 동안 준비해서 며칠간 관객들을 만나게 된다. 공연을 하는 시간보다 그 공연을 준비하는 기간이 훨씬 더 긴 것이다. 그리고 직접적으로 작품과 연관되지 않은 일상생활이라고 부를만한 시간들도 보내야 한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예술가의 삶이 얼마나 안정되고 행복한가에 따라 예술가가 선보이는 작품의 내용이나 질도 달라질 것이다. 그러니, 지역이 좋은 예술을 창조해내려면 예술가의 일상생활과 작품을 준비하는 시간에 관심을 가져야만 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예술정책의 대부분은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영역에 집중되어 있다.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결과물을 만들어내야만 하고, 그렇지 않으면 아무 것도 하지 않는 예술가로 분류된다. 상당한 금액이 투자되는 예술 관련 건축물만 봐도 이러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우리 지역은 좋은 예술회관이 많은 도시라는 자부심이 있다. 시에서 운영하는 공연장, 미술관과 구청에서 운영하는 문화예술회관만 해도 예술의 결과물들을 보여줄 충분한 장이 마련된다. 그에 반해 예술을 준비하는 공공건물은 손에 꼽을 정도이다. 미술 작가를 위한 창작 스튜디오 몇 군데와 대명동의 연습공간 정도만 떠오른다. 결과물을 보여주는 건물에 비해 그 결과물을 준비하는 데 필요한 건물은 턱없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일상생활의 영역으로 가면 더 심각하다. 예술가도 먹고, 자고, 아이를 낳고, 휴식을 하고, 공부도 해야 한다. 이것은 예술 활동과 전혀 상관이 없고 그저 개인이 책임져야 할 부분이라고 믿는다면 예술가들은 균형 잡힌 일상은 포기하고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결과물 만들기에 몰두하거나 예술을 포기하게 될 것이다. 예술가를 위한 식당, 예술가를 위한 보육시설, 예술가를 위한 임대 주택, 예술가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등 당장의 결과물을 위한 지원이 아니라 예술가가 행복한 삶을 누리도록 돕는 인프라 구축과 프로그램 개발을 고민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예술인 복지를 위해서가 아니라 더 나은 예술을 창조하는 도시로 성장하기 위해서 말이다. 손호석 극작가·연출가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