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구미국가산업단지 제1호 입주기업인 KEC 구조고도화사업 두고 노사 갈등

9일 구미4공단 구미코에서 황창섭(오른쪽) KEC 대표이사와 이준한 KEC 노동조합 위원장이 노사화합결의문에 서명을 한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전병용 기자
9일 구미4공단 구미코에서 황창섭(오른쪽) KEC 대표이사와 이준한 KEC 노동조합 위원장이 노사화합결의문에 서명을 한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전병용 기자

구미국가산업단지 제1호 입주기업인 KEC 구미공장의 구조고도화사업 추진을 두고 노사 및 노노(勞勞) 간 갈등이 골이 깊어지고 있다.

KEC 구미공장은 9일 창립 50주년을 기념해 구조고도화사업 강행입장을 밝혔다.

KEC 구미공장의 구조고도화사업은 공장 서편 유휴부지에 대규모 쇼핑몰과 복합터미널, 의료센터, 전문학원, 오피스텔 등을 조성하기 위해 17만1천600㎡(5만2천여 평)의 공장부지를 유통업체 등에 매각하는 것이다. KEC 구미공장은 이렇게 마련한 재원 중 1천억~2천억 원을 재투자한다는 계획이다.

이러한 회사의 구조고도화사업 추진에 한국노총 KEC노동조합은 최근 입장문을 내고 사측의 구조고도화 사업을 환영했다.

한국노총 KEC노조는 "2014년 11월25일 체결한 노사협정서는 현재까지도 단체협약과 동일한 효력을 갖고 있으며 소수 노조의 근거 없는 주장은 사실과 전혀 다르다"며 "사측의 구조고도화 사업이 회사와 근로자가 상생하는 길이라는 것을 확신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날 금속노조 KEC지회는 구미4공단 구미코 앞에서 '노조파괴 장례식'을 치르고, 구조고도화 사업에 반대하는 대규모 집회를 열었다.

금속노조 KEC지회는 "사측은 2011~2014년 매년 대형 쇼핑몰과 호텔을 짓는 구조고도화 민간대행사업자 신청을 냈으나 모두 탈락한 사례가 있다"면서 "구조고도화 사업은 구미공장을 철수하고 회사를 폐업하기 위한 수순으로, 투기세력들이 몰려 구미산단 공동화를 심화시키고 시민의 삶을 악화시키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KEC구미공장의 노조 구성은 전체 650여명의 임직원 중 한국노총 KEC 노조원 260여명, 민주노총 KEC지회 노조원 100여명, 기업노조원 20여명 등이다.

게다가 KEC 구미공장의 구조고도화사업은 인근 신평광평도시개발조합이 추진하는 대형쇼핑몰 유치와 중복돼 논란이 되고 있다.

신평광평도시개발조합원은 1972년부터 47년간 완충녹지로 설정돼 재산권행사가 제한됐던 지역주민들이 2016년부터 대형유통업체인 롯데와 대규모 복합쇼핑몰 건립을 위한 협약을 추진해 왔다.

신평광평도시개발조합이 추진하는 대형쇼핑몰은 KEC 구미공장과 불과 2㎞이내에 있다.

신평광평도시개발조합원은 지난달 호소문을 통해 "구조고도화사업 취지에 부합하지 못해 공모사업자 선정에 무려 4회나 고배를 마신 KEC가 부동산투기꾼의 본능을 버리지 못하고 또다시 공모사업에 재신청을 하려 한다"며 강도높게 비난했다.

한편 KEC 구미공장의 구조고도화 사업의 추진 여부는 한국산업단지공단의 판단에 달렸다. 한국산업단지공단은 다음 달 2일까지 사업자 공모를 거친 뒤 관련 기관의 의견을 들어 올 연말까지 최종 사업자를 결정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