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대구 도심통과 철도 지하화, 선거용 간보기는 안 된다

경부선 대구 도심통과 구간의 지하화 사업 추진을 위한 정치권 논의가 다시 시작됐다. 더불어민주당 홍의락 국회의원이 지난 5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국무총리에게 경부선 대구 도심 구간 지하화 추진 타당성 연구용역 비용의 내년도 정부 예산안 포함을 요청하자 총리가 대구시와의 상의를 약속했다. 대구를 위한 일이라 반갑지만 또 정치적으로 이용만 당하지 않을까 걱정스럽다.

이미 대구 시민은 지난 1990년 경부고속철도 대구 도심통과 구간 지하화 수립, 1993년 지상화로의 번복, 1995년 다시 지하화 결정에 이은 2006년 지상화 최종 확정으로 엄청난 인적·물적 행정 낭비와 혼란을 겪었다. 이후 지상화된 대구 도심통과 구간 지하화는 총선을 맞아 2016년 4월 당시 새누리당 공약이 됐다. 그러나 2017년 10월 대구시는 연구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이를 포기하고 장기 과제로 넘겼다. 그렇게 1년여 세월을 또 날린 셈이다.

이번 홍 의원의 제안은 대구의 해묵은 문제를 풀려는 마음에서겠지만 혹여 내년 총선을 염두에 두고 표를 의식한 의도에서 나온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기도 하다. 정부가 우선 요청한 35억원은 줄 수도 있겠지만 8조원(2017년 당시 추정 공사비)의 돈 마련은 장담할 수 없다. 특히 아침저녁으로 바뀌는 이 나라 정치판을 어찌 믿겠는가. 게다가 지금껏 공약의 일관된 실천은 마치 우물에서 숭늉을 찾는 격의 정치 현실이니 더 말할 필요조차 없다.

홍 의원은 무엇보다 대구 도심통과 구간 철도의 지난날의 뒤틀린 역사를 살피는 게 먼저다. 진정 대구 미래를 위해 이번 일을 추진하려면 선거용 간보기 대신 제대로 된 지하화 계획부터 세워 시민에게 내놓는 게 맞다. 홍 의원을 못 믿어서가 아니라 불신의 늪인 정치를 믿을 수 없어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