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아열대작물연구소 구미에 설립하자" 경상북도의회 김준열 도의원 임시회 5분 자유발언 눈길

경북 구미화훼연구소 9만9천여 ㎡ 유리온실이 최적지 주장

경상북도의회 제310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하고 있는 경북 구미 출신 김준열 도의원. 경북도의회 제공
경상북도의회 제310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하고 있는 경북 구미 출신 김준열 도의원. 경북도의회 제공

"지구 온난화에 선제적으로 대비해 아열대작물연구소를 설립합시다."

경상북도의회 김준열 도의원(구미)이 최근 열린 제310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구미화훼연구소 연접 부지의 유리 온실을 활용한 '구미 아열대작물연구소' 설립을 제안했다.

그는 "평균 기온이 1℃ 오르면 농작물 주산지가 80㎞ 북상하는 것으로 각종 연구에서 확인되고 있다"며 "국립원예특작원 온난화대응 농업연구소에 따르면 현재 제주와 일부 남해안이 아열대 기후로 변화하고 있으며 2080년쯤 중부내륙까지 아열대기후로 바뀔 것이라고 전망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그는 "경북의 주력 소득작물인 사과와 복숭아, 포도 등의 주산지가 대거 북상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미래의 소득대체작물로 아열대작물의 연구·보급이 절실하다"고 했다.

김 도의원에 따르면 아열대작물의 국내 재배면적은 2017년 428㏊ 정도였지만 내년에는 1천㏊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경북은 현재 1천869농가가 697㏊ 규모의 아열대작물을 재배하기 때문에 다른 지역보다 아열대작물에 대한 관심도가 높다는 것이다.

경북도는 2015년부터 구아바와 망고, 커피 등 28종의 아열대 과수 유전자원을 수집하고 재배 적응성 검정과 적품종 선발을 실시하고 있다.

올해부터는 만감류(한라봉·레드향), 애플망고, 바나나 등 10개 주요 아열대작물의 소득화 최적재배 매뉴얼 개발을 추진하며 경주, 경산, 고령 등 10개 지역에서 관련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아열대작물의 재배기술에 대한 관련 정보가 정형화되지 않아 농가의 위험 부담이 큰 게 현실이라고 김 도의원은 주장했다.

김 도의원은 "구미화훼연구소 뒤편 부지에 면적 9만9천여 ㎡의 유리온실이 있고 이곳을 활용해 아열대작물연구소를 설립하는 것이 예산을 획기적으로 절감하는 방법"이라며 "인근 상주 스마트팜 혁신밸리와 곧 이전될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IT도시인 구미시의 첨단기술 등이 연계되면 동반 발전할 여건이 충분하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